본 논문은 1920년대 초 완성된 메이예르홀트의 생체역학이 본질적으로 1910년대 전통주의 시기의 연속이자 진화라는 것을 논증한다. 그는 연극을 신비주의적 영감이나 자연주의적 모사에 의존하지 않고 학습과 연구의 과학적 영역으로 견인하려 했다. 이를 위해 연극 체계 내에 존재하던 여러 배우술을 탐색했고, 연극의 오랜 역사 속에서 이어져온 수많은 장인들의 연기술에 눈을 돌린다. 메이예르홀트는 논문 「발라간」을 기점으로 하여 러시아연극의 발전을 위한 대안으로 과거 전통적 연극의 기법과 기술의 습득을 최우선 과제로 삼는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보로딘스카야스튜디오를 개설하고 배우들을 코메디아 델라르테 배우, 마임 연기자, 마술사, 곡예사로 만드는 혹독한 훈련을 실시한다. 그 훈련의 목표는 공간적 자기인식과 라쿠르크, 그로테스크 연기법을 체득하는 것이었다. 혁명 후 무대연출코스(КУРМАСЦЕП)를 개설한 메이예르홀트는 처음으로 의학적 생체역학본 논문은 1920년대 초 완성된 메이예르홀트의 생체역학이 본질적으로 1910년대 전통주의 시기의 연속이자 진화라는 것을 논증한다. 그는 연극을 신비주의적 영감이나 자연주의적 모사에 의존하지 않고 학습과 연구의 과학적 영역으로 견인하려 했다. 이를 위해 연극 체계 내에 존재하던 여러 배우술을 탐색했고, 연극의 오랜 역사 속에서 이어져온 수많은 장인들의 연기술에 눈을 돌린다. 메이예르홀트는 논문 「발라간」을 기점으로 하여 러시아연극의 발전을 위한 대안으로 과거 전통적 연극의 기법과 기술의 습득을 최우선 과제로 삼는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보로딘스카야스튜디오를 개설하고 배우들을 코메디아 델라르테 배우, 마임 연기자, 마술사, 곡예사로 만드는 혹독한 훈련을 실시한다. 그 훈련의 목표는 공간적 자기인식과 라쿠르크, 그로테스크 연기법을 체득하는 것이었다. 혁명 후 무대연출코스(КУРМАСЦЕП)를 개설한 메이예르홀트는 처음으로 의학적 생체역학을 접하게 된다. 그리고 국립고등연출학교(ГВЫРМ)와 국립고등연극학교(ГВЫТМ을 거치면서 자신만의 고유한 연기훈련 시스템인 생체역학을 완성한다. 이 과정에서 전통주의 시기의 실험성과와 교육내용은 생체역학의 이론적 논거로서, 생체역학 훈련의 토대로서 작동했다. 본 연구를 통해 생체역학과 관련된 오류와 편견이 제거되고, 생체역학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부흥하길 기대한다.을 접하게 된다. 그리고 국립고등연출학교(ГВЫРМ)와 국립고등연극학교(ГВЫТМ을 거치면서 자신만의 고유한 연기훈련 시스템인 생체역학을 완성한다. 이 과정에서 전통주의 시기의 실험성과와 교육내용은 생체역학의 이론적 논거로서, 생체역학 훈련의 토대로서 작동했다. 본 연구를 통해 생체역학과 관련된 오류와 편견이 제거되고, 생체역학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부흥하길 기대한다.
This paper argues that Meyerhold's biomechanics, completed in the early 1920s, is essentially a continuation and evolution of the traditionalist period of the 1910s. He sought to bring theater into the scientific realm of learning and research rather than relying on mystical inspiration or naturalistic material. To achieve this, he explored various acting skills that existed within the theater system and turned to the acting skills of numerous craftsmen that have been passed down throughout the long history of theater. Starting from his treatise “Balagan”, Meyerhold considers the acquisition of techniques and skills of the traditional theater of the past as an alternative for the development of Russian theater as a top priority. To put this into practice, he opens a studio on Borodinskaya Street and conducts rigorous training that turns actors into commedia dell'arte actors, mimers, magicians, and acrobats. The goal of the training was to acquire spatial self-awareness, 'raccourci', and grotesque acting techniques. After the revolution, Meyerhold, who opened a stage directing course (КУРМАСЦЕП), encountered medical biomechanics for the first time. And he completed his own unique acting training system, biomechanics, by going through the National Higher Directing School (ГВЫРМ) and the National Higher Theater School (ГВЫТМ). In this process, the experimental achievement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traditionalist period served as theoretical arguments for biomechanics and the basis for biomechanics training. I hope that through this research, errors and prejudices related to biomechanics will be eliminated and new interest in biomechanics will be revived.
Ⅰ. 생체역학의 오해와 편견
Ⅱ. 전통과 혁신의 결합
Ⅲ. 예술에서 과학으로
Ⅳ. 나가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