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체제 붕괴로 그 사회를 지배해왔던 새로운 ‘신앙’인 마르크스-레닌주의가 물러났을 때 이를 대체할 신앙으로서 정교신앙이 거론된 것은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니었다. 역사적으로 러시아에서 정교와 국가는 서로의 역할을 인정하고 항상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다. 러시아 혁명 직전 까지 러시아 정교회는 지식인 계층을 포함한 모든 사회 계층에 영향력을 끼쳤다. 소비에트 시기 정교회는 새로운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에 국가 이념의 자리를 넘겨주어야 했다. 그리고 구체제의 근본이념인 정교는 소멸되어야할 대상이었다. 하지만 2차 세계대전 기간에 스탈린은 나치 독일에 대한 전선에 정교회를 합류시켰고 정교회와 국가는 다시 협력관계로 복원되었고, 무신론의 소비에트 사회에서도 러시아 정교는 정치적 유용성을 인정받았고 존속할 수 있었다.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러시아 정교는 이데올로기의 공백을 메꿀 대체재로 다시금 부활하며 혁명 전 러시아 사회에서 누리던 지위를 점차 회복하였고, 권력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되었다. 그리고 푸틴의 집권 이후 러시아 사회 여러 분야에서 민족주의 경향이 노골화 되는 것과 함께 러시아 정교회도 그 행보에 동참하고 있는 여러 현상들이 관찰되어 진다.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은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에 러시아의 민족주의적 이념이 러시아 정교와 결부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종교와 관련된 푸틴 행정부의 정책 등은 국가 중심의 민족주의적 경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렇게 러시아 정교가 민족주의와 결합되는 현상들 중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현대 러시아에서 반유대주의 이념의 확산에 정교가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러시아 정교의 반유대주의 경향을 “시온의정서”의 출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When the Soviet system collapsed and the new “faith” that had dominated that society, Marxism-Leninism, was abandoned, it was not surprising that Orthodoxy was considered as the faith to replace it. Historically, in Russia, Orthodoxy and the state recognized each other's roles and always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Until just before the Russian Revolution,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as influential in all strata of society, including the intelligentsia. During the Soviet period, the Orthodox Church was forced to give way to the new communist ideology as a state ideology, and Orthodoxy, as a fundamental part of the system, was to be extinguished. However, during World War II, Stalin enlisted the Orthodox Church in the fight against Nazi Germany, and the Church and the state were restored to a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Russian Orthodoxy was able to survive in an atheistic Soviet society because of its political usefulness. In the post-Soviet period, Russian Orthodoxy was revived as an alternative to fill the ideological vacuum, gradually regaining its pre-revolutionary status in Russian society and becoming very close to the powers that be. Since Putin's rise to power, a number of phenomena have been observed in Russia, including the rise of nationalist tendencies in various sectors of Russian society, and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as joined the movement. The most prominent phenomenon is the fact that Russian nationalist ideology in the post-Soviet period has been linked to the Russian Orthodox Church, and the policies of the Putin administration, especially with regard to religion, can be interpreted as state-centered nationalist tendencies. The most characteristic of these phenomena is the role of Russian Orthodoxy in the spread of anti-Semitic ideology in modern Russia. This study examines the anti-Semitic tendencies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focusing on the publication of the Protocols of Zion.
I. 서론
II. 러시아 정교와 반유대주의
III. 『시온 의정서』의 출판과 논란
I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