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러시아학 제28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극동 토착종족의 뱀과 용 숭배 고찰

The Review of Snake and Dragon Worship among Indigenous Tribes of the Far East

DOI : 10.24958/rh.2024.28.155
  • 51

본 논문에서는 극동 토착종족의 뱀과 용 숭배를 한반도, 중국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뱀 숭배는 극동 토착종족이 오랫동안 향유한 전통신앙의 하나이며 지금까지도 이들 전통신앙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데 뱀 숭배는 극동 토착종족 사이에 두루 전파되어 있지만, 용 숭배는 극동 남부 지역에 특징적이다. 극동 토착종족 사이에서 뱀을 가리키는 kulin(~kula~kola, 뱀/ 퉁구스제어), kylang(뱀/ 닙흐어)과 한반도의 구렁이, 오로치족의 뱀 신 욱구마(에제니)와 한반도 업구렁이는 음성적, 의미적으로 유사하다. 이에 근거할 때 극동 토착종족의 뱀 숭배는 한반도의 구렁이 숭배와 연결된다. 극동 토착종족의 신화적 관념에서 뱀은 대지와 강의 창조주이며, 종교적 관념에서는 샤먼의 보조령으로서 우주 삼계의 연결자, 번개와 우레의 신, 종족과 씨족의 시조신이다. 용은 현실의 동물인 뱀의 형상에 변형을 가한 뒤 성화(聖化)시켜 동물 가운데 최상의 권위를 부여받게 된 상상의 동물이다. 극동 남부 토착종족의 무두르(mudur, 용)와 용의 한국 고유어 ‘미르’의 음성적 유사성에 근거할 때 무두르~미르는 극동 남부 지역~한반도의 기층 어휘이다. 극동 남부 토착종족과 한반도, 중국의 용 숭배 사이에는 유사한 측면이 많이 발견되지만 서로 다른 사회정치체제로 인해 서로 다른 식의 변형, 발전과정을 거쳤다. 한반도와 중국에서 용 숭배는 뱀 토템 → 용 토템 → 용신 → 용왕의 순서로 발전했는데 극동 토착종족은 국가 단위의 사회를 경험하지도, 왕이나 황제가 존재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용을 용왕의 단계까지 발전시키지 않았다. 즉 이들에게 용은 한반도나 중국만큼의 위상을 가진 신이나 숭배대상은 아니었으며, 용 숭배의 발전도 한반도나 중국에 비해 제한적이었다. 극동 남부 토착종족에게는 용에서 기원하는 물의 악령 푸이무르와 시무르가 있는데 이들은 용으로부터 물의 속성을 계승하였지만 물을 지배, 관리할 능력은 없다. 극동 남부 토착종족은 용은 신으로 숭배하였지만 푸이무르와 시무르는 신으로 숭배하지도 않았고, 어떤 종교적 관념과도 연결시키지 않았으며 용과 엄격하게 구분하였다.

Kulin(~kula~kola, snake/ tungusic language) and kylang(snake/ nivh language), which are words for snakes among the indigenous tribes of the far east, and the gureongi of the korean peninsula, the orochi's snake god uguma(ezeni), and the upgureongi of the korean peninsula is phonetically and semantically similar. Therefore, the snake worship of the indigenous tribes of the far east is connected to the snake worship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mythological concept of the indigenous tribes of the far east, the snake is the creator of the earth and rivers, and in religious concepts, it is the shaman's assistant spirit, the connector of the three worlds of the universe, the god of lightning and thunder, and the progenitor god of races and clans. The dragon is an imaginary animal that was given the highest authority among animals by transforming the shape of a real animal, a snake, and then sanctifying it. Mudur, which refers to a dragon among indigenous tribes in the far east, is phonetically similar to ‘mir’, which is written in the native korean language for dragon, so there were cultural groups in the southern far east and the korean peninsula who shared the worship of dragons (mudur~mir). However, as they accepted different social systems, their dragon worship went through different transformations and development processe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 dragon worship developed in the following order: snake totem → dragon totem → dragon god → dragon king. The far eastern indigenous tribes did not experience a national society, nor did they have kings or emperors, so they did not develop dragons to the level of dragon kings. In other words, for them, dragons were not gods or objects of worship with the same status as those in the korean peninsula or china, and the development of dragon worship was limited compared to the korean peninsula or china.

I. 들어가는 말

II. 극동 토착종족 뱀 숭배의 특징

III. 극동 남부 토착종족 용 숭배의 기원과 발전과정

IV. 나오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