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은 이색의 문집인 『목은집』에는 그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였던 34세부터 49세까지 16년 동안의 시가 한 편도 남아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간행되었던 목은의 문집들을 비교하고, 간행 과정을 살펴 그동안 제기되었던 의문들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먼저 목은은 이 16년 동안 시를 창작하였음을 밝혔다. 『목은시고』에 전하지 않는 1362년 청주 공북루 응제시가 1편 있으며, 그 외 박익의 『송은집』에도 연대가 확실하지 않으나 『시고』에 수록되지 않은 시가 3수 발견되었다. 또한 이 시기 목은은 꾸준하게 표전을 지어 고려의 외교에 적극 관여하였으며, 기문과 서문 등도 지속적으로 지으면서 사회관계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종합해 본다면 16년 동안 시를 쓰지 않은 것이 아니라, 어떠한 이유로 삭제되었다고 결론지을 수밖에 없다. 이처럼 16년 동안 지은 목은의 시가 삭제된 이유는 조선 건국 후 태조 이성계와 관련된 기록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1411년 명나라의 진연이 지은 목은의 묘지명이 발단이 되어 조선 조정을 두려움에 떨게 하였다. 묘지명의 기록에 고려말 이성계와 관련된 내용이 고려의 입장에서 서술되었으며, 역성혁명을 일으킨 이성계의 잘못을 지적하였던 것이다. 조선의 왕인 태종의 입장에서는 아버지 태조에 대한 사실기록을 그대로 남겨둘 수 없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이성계가 왕이 되기 전 고려 말 사회에서 활동하였던 시기의 내용을 담고 있는 모든 문인들의 문집도 수정되거나 삭제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목은의 시도 이와 같은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삭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결국 『목은집』 초간본의 형태는 시와 문을 편차로 구분하지 않은 총집의 형태의 70권으로 간행되어 시 50권, 문 20권이었을 것이며, 여기에는 권근, 하륜, 이첨의 문집서문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 볼 수 있는 중간본에서 하륜의 것은 삭제되어 전하지 않는다. 나머지 두 개의 서문과 <행장>, 하륜이 지은 <신도비명>은 수정되어 남겨졌다. 명나라 문인 진연이 쓴 <묘지명>도 있었지만, 초간본에 수록되지 못하고 폐기되었다. 하지만 목은의 손자인 이맹균이 쓴 <비음기>에 <묘지명>의 일부분을 인용하여 그 핵심 내용은 남겨놓았다.
In 『Mogeunsigo』, not a single poem remains spanning the 16 years from Mogeun’s age of 34 to 49, when Mogeun was the most active. In this paper, we compared Mogeun's Literary Collection that has been published so far and looked at the publication process to resolve the questions that had been raised. First, This study revealed that Mogeun created poetry during these 16 years. There is one poem, Gongbuklu(拱北樓) Eungjesi(應製詩) in Cheongju in 1362 that is not included in 『Mogeunsigo』, and Three poems were discovered. in Bak Ik(朴翊)'s 『Songeunjib』 whose date are not certain, but which are not included in 『Sigo』 Also, during this period, Mok-eun actively participated in Goryeo's diplomacy by consistently writing biǎojiānwén(表箋文), and maintained social relations by continuously writing kimun(記文) and Prefaces(序文). Considering these circumstances, we cannot help but conclude that it is not that he did not write poetry for 16 years, but that it was deleted for some reason. The reason why Mogeun's poetry, written over a period of 16 years, was deleted appears to have occurred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records related to King Taejo Yi Seong-gye after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In 1411, the Ming Dynasty's Chénliǎn (陳璉)'s epitaph of Mogeun began and caused fear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epitaph record, contents related to Yi Seong-gye in the late Goryeo Dynasty were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Goryeo, and the mistakes of Yi Seong-gye, who caused the dynastic revolution, were pointed out. From the perspective of King Taejong of Joseon, he could not leave a record of facts about his father Taejo intact. Through this process, we were able to see that all the literary works containing the contents of the period when Yi Seong-gye was active in late Goryeo society before becoming king were modified or deleted. Therefore, it appears that Mok-eun's poetry was inevitably deleted in this situation. In the end, the form of the first edition of 『Mogeunjip』 would have been published in 70 volumes in the form of a collection without dividing poetry and prose into deviations, so it would have been in the form of 50 volumes of poetry and 20 volumes of prose, which included Prefaces (序文) by Kwon Geun (權近), Ha Ryun (河崙) and Lee Cheom (李詹). However, in the currently available Republished Book, Ha-ryun's preface deleted and has not passed down. The remaining two prefaces, <Haengjang(行狀)>, and Ha-ryun’s <Sindobimoung(神道碑銘)> were revised and remained. There was also <Epitaph(墓誌銘)> written by the Ming Dynasty’s Chénliǎn (陳璉), but it was not included in the first edition and was discarded.
1. 문제 제기
2. 목은은 16년 동안 시를 전혀 짓지않았을까?
3. 선초 『목은집』 간행에 외부의 관여가 있었는가?
4. 『목은집』에서 변개된 부분은 무엇인가?
5.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