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포은학연구 제33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용헌(容軒) 이원(李原) 시의 표현기법과 문학적 특질

The expression techniqu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Yongheon Lee Won’s Poetry

DOI : 10.22866/poeun.2024.33..77
  • 27

용헌(容軒) 이원(李原: 1368∼1429)은 고려말엽에서 조선초까지 활동했던 문신(文臣)이다. 그의 본관은 고성(固城)이고, 자는 차산(次山), 호는 용헌(容軒)이다. 조부는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을 지내고 문인으로도 명성이 있었던 행촌(杏村) 이암(李嵒)이고, 아버지는 밀직부사를 지낸 평재(平齋) 이강(李岡)이며, 정몽주(鄭夢周)와 이숭인(李崇仁)의 문인이다. 또한 용헌은 조선전기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었던 태재(泰齋) 유방선(柳方善)의 장인이기도 하다. 용헌의 첫 번째 부인 양천허씨(陽川許氏)에게서 낳은 첫째 딸이 유방선과 혼인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부인 허씨는 여말선초의 저명한 문인이었던 허금(許錦)의 여식이었다. 따라서 이원은 본가, 외가, 처가, 사돈은 물론 사승관계에 있어서도 당대 최고 명문의 위치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고려말 우왕 대에 문과에 급제하여 환로에 오른 뒤 조선조 개국 후에 주로 활동하였다. 그는 조선초 문단의 영수였던 양촌 권근의 처남으로 나이 차가 많이 난데다 또 용헌이 부친을 일찍 여위었기에 자형(姊兄)인 양촌에게 어려서부터 학문을 배웠다. 조부인 행촌 이암과 부친인 평재 이강의 예술적 기질을 이어받아 작시에 매우 뛰어났으며 특히 당시풍(唐詩風) 작법에 능하였다. 이원은 사상적으로 유학자였지만, 여말선초의 많은 문인들처럼 불교에도 우호적이고 친밀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국가를 경영하는 위정자의 입장에서 불교의 폐해를 단호하게 지적하며, 정치·행정의 기반을 유학에 두는 확고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정치적으로는 유학을, 종교적으로는 불교를 수용하는 자세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환로에서도 대간(臺諫)의 직임은 물론 좌의정·우의정·판서 등의 중앙직과 각 도의 관찰사·평양부윤 등 지방직의 요직을 두루 거쳤고, 시관(試官)이 되어 과거를 세 차례나 주관하기도 했으며, 명나라에도 무려 세 번이나 사행을 다녀오는 등 관리로서 이력이 너무나 다채로웠다. 이는 용헌이 그만큼 여러 방면에 다재다능했음을 보여주는 실례(實例)라 할 것이다. 그의 시세계 역시 그의 이력(履歷)만큼이나 다채롭다. 차운시, 증시(贈詩)등의 교유시(交遊詩), 인생에 대한 성찰과 반성 및 고뇌, 관료로서 선정(善政)에 대한 다짐, 불교적 색채의 시, 귀거래에 대한 염원, 만시(挽詩) 등 시학적(詩學的)으로 중요한 주제를 다룬 작품들이 많다. 작품의 경향이나 기법 또한 다양한데, 특히 당시풍(唐詩風)의 감각적 기법은 상당히 뛰어나 주목할 만하며, 품격면에서는 청신(淸新)·아려(雅麗) 계열에 속하는 작품이 많은 것도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Yongheon(容軒) Lee Won (李原: 1368∼1429) was a civil official who was active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His family clan is Goseong(固城), his another name is Chasan, and his pen name is Yongheon. His grandfather was Haengchon Lee Am, who served as Sumunhasijung(守門下侍中) and had a reputation as a literary man, and his father was Pyeongjae Lee Kang, who served as a government official in charge of military secrets, and a literary man of Jeong Mong-ju and Lee Sung-in. In addition, Yongheon is also Yu Bangseon(柳方善)’s father-in-law who was in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is because the first daughter born to Yongheon's first wife married Yu Bangseon. And his wife was a daughter of Heo Geum, a famous writer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Lee Won was in the position of the most prestigious family at the time in terms of establishing various relationships. He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Wu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was mainly active after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Yongheon( was the brother-in-law of Yangchon Kwon Geun, the leader of the literary circl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he learned his studies from Yangchon from an early age because Yongheon’ father died early. He succeeded his grandfather, Haengchon Lee Am, and his father, Pyeongjae Lee Kang. Accordingly, he was very excellent in writing, especially in the style of Chinese poetry of the Tang Dynasty. Lee Won was a Confucian scholar in his mind, but like many writers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he is friendly to Buddhism. However, he firmly pointed out the harmful effects of Buddhism from the perspective of a member of the ruling elite and showed a firm attitude of studying Confucianism politically and accepting Buddhism religiously. In addition, He has served in both central and local positions, and has been the general director of the examination for selecting officials three times. He also visited the Ming Dynasty three times As a representative official of Joseon, He had a wide range of career as an official. His world of poetry is as colorful as his career. There are many works that deal with poetic important topics such as reflection on life, anguish, determination as a bureaucrat, Buddhist ideas, wishes for home, and feelings of memorial. The trends and techniques of his poems are also diverse, especially the sensory techniques in the style of Chinese poetry of the Tang Dynasty are quite excellent. It is also an important feature that there are many works belonging to the Cheongshin(淸新) and Aryo(雅麗) in terms of dignity,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ino-Korean poetry.

1. 문제제기

2. 용헌 이원의 생애와 교유관계

3. 용헌시의 표현기법과 품격

4. 결어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