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세월호 참사가 신체 변화에 미치는 영향: BMI를 중심으로

Impact of the Sewol Ferry Disaster on Physical Changes: Focused on BMI

  • 81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4권3호.jpg

본 연구는 재난이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와 심리가 신체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해 재난이 신체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에 초점을 맞추면서,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2014년을 기준으로 발생 전·후 각 4년에 해당하는 2010년~2018년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229개 기초자치단체의 비만율 패널데이터를 구축하고 종단 데이터 분석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대형 재난이 비만 인구비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월호 참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국내 전 지역의 장기적인 비만 인구비율 증가에 영향을 미쳤으며, 직접 영향을 받은 안산·진도의 경우 장기적인 비만 인구 비율 증가와 동시에 즉각적인 비만인구 증가까지 발생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난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기회를 제공할 뿐 아니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재난 관련 장기 영향 지원을 위한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whether disasters affect physical changes, linking research on the effects of disasters on psychology and the effects of psychology on physical changes. It focused on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physical changes were tracked from 2010 to 2018, including the four years before and after the disaster in 2014. We constructed panel data on obesity rates from 229 local governments and used longitudinal data to analyze the impact of large disasters on changes in obesity rates over tim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wol Ferry Disaster had a long-term effect on the increase in obesity rate over time. In the directly affected areas of Ansan and Jindo, there was not only a long-term increase but also an immediate increase in the obesity ra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disasters on society, and can als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national and local disaster-related long-term impact support policies.

1. 서 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