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공동주택 공용방화문의 노후화를 고려한 유지관리 대책에 관한 연구

Optimizing Maintenance Strategies for Public Fire Doors in Apartment Buildings: Study on Deterioration Patterns and Replacement Timing

  • 31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4권3호.jpg

본 연구는 건축물 통계 자료를 통한 방화문 작동확률 분석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노후화 방화문의 성능저하 요인 및 적정 교체시기를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중 노후화로 인해 성능이 저하된 방화문은 신속하게 수리되거나 교체되어야 하지만 방화문 수리 및 교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방화문의 작동확률의 통계적 분석 및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방화문의 적정 교체 시기 및 성능 저하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방화문 작동 확률 조사 결과 15년 이상 경과된 방화문의 작동 실패 확률이 2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작동 실패 원인은 주로 미설치, 관리 및 성능부족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방화문의 적정 교체 시기는 10~15년으로 조사되었으며, 성능저하 요인으로 ‘비틀림’과 ‘부식’이 27%, ‘찌그러짐’이 24%, ‘파손’이 20%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aging fire doors and determine their appropriate replacement time by analyzing the probability of operation of fire doors using building statistics and expert surveys. Aged fire doors with degraded performance should be repaired or replaced quickly; however, there is no clear standard for fire door repair or replacement. Therefore, we analyzed the operation probability of fire doors and conducted expert surveys to determine the proper replacement timing of fire doors and identify the performance degradation factors. The fire door operation probability survey results showed that fire doors operating for those more than 15 years had more than 20% probability of operation failure, and the main causes of operation failure improper installation, insufficient management, or poor performance. The expert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the optimal replacement period for fire doors is 10 to 15 years. The primary factors contributing to performance deterioration were identified as twisting and corrosion (27%), dents (24%), and damage (20%).

1. 서 론

2. 방화문 작동 확률 분석을 위한 통계분석

3. 전문가 설문조사

4. 종합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