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노벨엔지니어링(Novel Engineering) 기반 생태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역량 및 인공지능 활용 태도 함양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Novel Engineering-Based Ecologic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Competency and Attitude towar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45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7권 제2호.jpg

이 연구의 목적은 인문과 공학이 결합된 노벨엔지니어링 수업 모델 교육 개발 및 적용을 통해 교육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미래 융합형 생태환경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노벨엔지니어링 기반 실과교과 중심 생태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6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수업 전, 후에 환경역량과 인공지능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벨엔지니어링 기반 생태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환경역량 함양에 효과적이다. 둘째, 노벨엔지니어링 기반 생태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인공지능 활용 태도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결론적으로 환경교육이 정규 교육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고 공학, 디지털 요소뿐만 아니라 인문, 예술 요소를 포함한 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언어, 디지털 기본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의의가 있다. 환경교육이 정규 교육과정에서 적용 가능하고 공학, 디지털 요소뿐만 아니라 인문, 예술 요소를 포함한 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언어, 디지털 기본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초등학생 전 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노벨엔지니어링 기반 생태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생태환경에 있어 여러 교과 분석을 통해 디지털, 인공지능 요소가 결합된 다양한 노벨엔지니어링 기반 생태환경 교육 프로그램의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ovel Engineering-based practical and subject-centered ecological environmen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20 sessions) and apply it to 25 6th grade students to conduct a survey on environmental competency and aware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before and after class to determine what kind of results. The purpose is to see if there is a chang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Novel Engineering-based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capabilities and their aware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competency surv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of reflection and insight, us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and environmental community competency,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oughts and career path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t is significant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can be applied in the regular curriculum and that a convergence program containing not only engineering and digital elements, but also humanities and arts elements has been developed to foster the basic language and digital skills emphasiz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Based on this study, there is a need to construct a variety of Novel Engineering-based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for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uture. In addition, follow-up research on a diverse Novel Engineering-based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digit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lements will be necessary through analysis of various subjects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