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감성적 디자인 분석 및 UX평가
Emotional Design Analysis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 for Service-oriented Virtual Human: focusing on Chinese Museum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한국디자인리서치
- Vol9, No. 2(통권 31권)
- 2024.06
- 440 - 456 (17 pages)
박물관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은 박물관 업계가 메타버스 진입하는 것을 선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나라에 비해 중국 시장의 박물관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활용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감성적 디자인 및 UX 평가를 통해 박물관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탐구한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감성적 디자인 요소 및 UX평가 요인를 도출하였다. 둘째, 중국 박물관에서 대표적인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 사례대상으로 감성적 디자인의 세 가지 단계(본능적 단계, 행동적 단계, 반응적 단계)에서의 시각, 청각, 스토리텔링, 인터랙션, 즐거움, 만족도, 편리성 7가지 요소를 논의하였다. 셋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UX평가 기준과 전문가 인터뷰 대상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의 의미성, 유회성, 편리성, 유용성, 신뢰성, 상호작용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례 분석과 인터뷰 결과를 종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감성적 디자인 측면에서는 실제 인물을 모델로 전통 문화 요소를 결합해 외모를 디자인하고, 자연스러운 대화와 감정 표현을 사용하였다. 문화재 배경과 역사 이야기를 설명하고 다양한 상호작용 방식을 통해 참여도를 높였다. UX 평가에서는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몰입감, 자연스러운 언어와 시각 및 청각 요소로 즐거움, 간결한 정보 전달과 음성 상호작용으로 편리성을 높였다. 기능으로 개별 요구를 충족시키며, 자연스러운 음성과 데이터 보안으로 신뢰를 강화하고, 음성 인식과 얼굴 표정 일치성으로 상호작용 경험을 향상시켰다.
As the digitization of museums accelerates, service-oriented virtual humans are leading the museum industry's entry into the metaverse. However,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e application of service-oriented virtual humans in Chinese museums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This study explores ways to enhance the user experience of service-oriented virtual humans in museums through emotional design and UX evaluation. Firstly, the study identifies emotional design elements and UX evaluation factors through prior research. Secondly, it discusses seven elements—visual, auditory, storytelling, interaction, pleasure, satisfaction, and convenience—across the three levels of emotional design(instinctive, behavioral, and reflective) using representative cases from Chinese museums. Thirdly, based on prior research, the study establishes UX evaluation criteria and selects expert interview subjects, identifying key factors affecting user experience: meaningful, pleasurable, convenient, usable, reliable, and interaction. Finally, the study synthesizes insights from case analysis and interview results. From an emotional design perspective, virtual humans are modeled after real people and incorporate traditional Chinese cultural elements in their appearance, using natural dialogue and emotional expression. They explain the background and history of artifacts and enhance participation through diverse interaction methods. Rich knowledge and engaging interactions attract visitor attention and enhance enjoyment. In terms of UX evaluation, diverse interactions increase immersion, while natural language and visual/auditory elements stimulate curiosity and engagement. Concise information delivery and voice interaction improve convenience. Functions such as inquiry response and route planning meet individual needs. Natural voice interaction and data security enhance trust, while improved voice recognition accuracy and facial expression consistency enhance user immersion and interaction experience.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감성적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의 이해
4.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감성적 디자인 분석 및 UX 평가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