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무역을 통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환경오염은 개선된다는 인식 하에 1990년부터2020년까지의 년간 테이터를 이용하여 무역특화지수를 통한 기술무역의 경쟁력과 연구개발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ARDL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는데, 무역특화 변수의 단기 계수와 장기 계수 모두 p-value가 0.05보다 작으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단기의종속 변수에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장기에는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일반적인 추론과 다르게 U자형 곡선을 보인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기술중심의 수출품목 경쟁력의 변화가 기술중심에서 제조업 중심으로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연구개발을 통한 기술혁신은 단기와 장기적으로 모두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ARDL분석으로는 단기의 결과만을 도출할 수 있어서 장기의 동태적 반응을 볼 수 있는 충격반응함수 분석을 추가로 진행하여 장기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오차수정모형의 예측오차분산분해을 통해 각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이산화탄소 자체 충격의 비중이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장기에 무역특화는 72% 영향을 받고 연구개발은 0.91% 충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제조업 중심의 무역에서 기술 중심의 무역으로 전환해야 하며, 이를 위해 주요기술과 연구개발투자가 중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변화는 경제성장과 환경 보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improves with economic growth through technology trad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competitiveness of technology trade and research and development(R&D) on the environment using the trade specialization index and R&D with annual data from 1990 to 2020. The analysis is conducted using the ARDL approach. The short and long-term coefficients of the trade specialization variable a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p-values less than 0.05. The results indicate a negative and positive impact on the dependent variable in the short and long term respectively. This finding is notable for its U-shaped curve, which deviates from general assumptions and suggests that the shift in competitiveness of export items from technology-centered to manufacturing-centered may be related. Technological innovation through R&D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in both the short and long term. However, since the ARDL analysis can only derive short-term results, we conducted an impulse response function analysis to derive long-term results. Lastly, examining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through the forecast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of the Error Correction Model reveals that the proportion of carbon dioxide's own shock influences 72% of the long-term trade specialization and 0.91% of the long-term impact on R&D. The study concludes that South Korea needs to shift from traditional manufacturing-centered trade to technology-centered trade. For this transition, major technologies and investment in R&D are crucial. This shift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simultaneously pursues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Ⅰ. 서 론
Ⅱ. 과학기술과 무역, 환경에 관한 이론적 고찰
Ⅲ. 연구개발과 기술무역, 환경에 관한 연구모형 및 검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