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호텔, 외식, 관광 전공 대학생의 감성지능이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by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hotel, foodservice, and tourism on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 232
관광학연구 제48권 제4호.jpg

이 연구는 호텔, 외식, 관광 전공 대학생들의 감성지능이 창의성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감성지능을 자기감성 이해, 타인감성 이해, 감성활용, 감성조절 등 4개의 하위요인을 포함한 것으로 보았다. 이들 하위요인과 창의성,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을 위해 경기도와 충청남도 소재 세 대학교의 호텔, 외식, 관광 전공 대학생 285명을 편의표본추출하였다. Google Forms을 이용하며 만든 설문지를 모바일로 배포하여 총 250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구조모형 분석을 시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감성지능 4개 하위요인, 즉 자기감성 이해, 타인감성 이해, 감성활용, 감성조절 모두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생의 창의성은 문제해결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감성지능, 창의성, 문제해결능력 변수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선행연구의 범위를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 대학은 대학생들에게 리더십 교육, 창작활동, 심리상담, 동아리 활동,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여 대학생 자신은 물론 타인의 감성 이해를 촉진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학생의 창의성 향상을 위해 창의적 수업방식과 수업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enhancing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by examining how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hotel, foodservice, and tourism influences problem-solving abilities through creativity. Based on previous research, emotional intelligence was divided into four sub-factors: self-emotion appraisal, others' emotion appraisal, use of emotion, and regulation of emo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sub-factor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were explore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elect 285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hotel, foodservice, and tourism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A questionnaire created using Google Forms was distributed via mobile phone, and 250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PSS 29.0 and AMOS 23.0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four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creativity.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crea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blem-solving abilities. This study is theoret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scope of previous research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Practically, it suggests that universities should provide leadership education, creative activities, psychological counseling, club activities, and interpersonal skill improvement program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emotions in both oneself and others. Furthermore, it indicates that creative teaching methods and conducive teaching environments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crea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