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몇 년 전부터 인구감소가 심각한 사회 문제이며 국가의 운명이 걸린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특히 지방에서는 인구감소로 인해 지방소멸 문제가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구감소와 지방소멸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동향을 분석해서 앞으 로의 인구감소나 지방소멸에 대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대상 데이터는 2003년 1월 1일부터 2024년 3월 31일까지 한국연구재단에 게재된 '인구감소' 논문 404편과 '지방소멸' 논문 141편, 총 545편의 논문을 scraping 해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에 의해서 실시했다. 연구결과로는 중요도를 분석한 TF-IDF 분석 결과 중심, 변화, 인구, 지방소멸, 인구구조 등의 단어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연결망 분석(SNA)에서는 연결 중심성(DC), 매개 중심성(BC), 근접 중심성(CC), 위세 중심성(EC)을 활용하여 분석했으며, 분석결과 인구, 감소, 지역, 변화, 한국 등의 단어로 분석되었다. 4개의 토픽 분석에서 인구감소는 인구, 감소, 변화가, 지방소멸은 인구, 지역, 감소가, 저출산은 인구, 지역, 한국이, 그리고 고령화는 지역, 지방자치단체, 인구감소가 중요한 토픽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향후 연구 방향은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연구, 청년시대에 대한 연구, 노인세대 및 고령화, 지방자치단체 발전방안, 인구감소와 지방소멸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In South Korea, population decline h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issue in recent years, posing a significant challenge to the nation's future. Particularly in rural areas, population decline has exacerbated concerns about regional extinction. Hen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existing research trends on population decline and regional extinction, with the intention of propos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F-IDF analysis, key terms such as centrality, change, population, regional extinc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were deemed significant. Social Network Analysis(SNA) revealed that population decline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erms like population, locality, and decline, while regional extinction was linked to locality, issues, and population. Topic analysis identified population decline topics such as population, decline, and change, and regional extinction topics such as population, locality, and decline. Additionally, low birth rate topics included population, locality, South Korea, and aging topics included locality, local government, and population decline. Based on these findings,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clude studies on marriage and childbirth, research on the era of youth, studies on the elderly and aging, development strategies for local governments, and research on the causes and countermeasures of population decline and regional extinc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분석의 설계
Ⅳ. Tidytext를 이용한 실증분석
Ⅴ.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