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는 고도의 기술 발전을 바탕으로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을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시대의 디자인 사고를 기반으로 한 에듀테크 활용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의 효과성과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에 주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디자인 사고 기반 에듀테크 활용 디자인교육의 사례를 통해 의미 있는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첫째, 디자인 사고 기반 에듀테크 활용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의 효과성은 무엇인가? 둘째, 디자인 사고 기반 에듀테크 활용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은 적용 가능한가? 이다. 연구 결과, ‘지속 가능한 디자인의 중요성 인식’, ‘교육과 기술의 넘나들기’, ‘학습에 대한 참여 증진 및 교사의 역할 변화’ 측면에서 교육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한 디자인 사고 기반 에듀테크 활용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에 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사고 기반 학습은 문제 인식의 증진이 가능하다. 둘째, 에듀테크는 학습자들에게 창의력과 혁신적 사고를 발달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셋째, 실천적 행동 강화는 교육과 학습을 넘어서, 이를 삶의 방식으로 채택하고 실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Modern society is experiencing a transition to a digital society based on high technological advanc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of elementary school design education using Edutech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meaningful educational significance through the case of design education using Edutech based on design thinking for 6th graders. The research question according to this is, first, what is the effectiveness of elementary school design education using Edutech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Second, is the desig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 using Edutech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pplicable? As a result of the study, educational significance could be found in terms of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sign', 'crossing education and technology', and 'promoting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changing the role of teachers'. The implications for elementary school design education using Edutech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sign thinking process-based learning can promote problem awareness. Second, Edute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creativity and innovative thinking for learners. Third, strengthening practical behavior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adopting and realizing it as a way of life beyond education and learning.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수업의 실제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