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미술교육논총 第38券 2號.jpg
KCI등재 학술저널

미술의 치료적 힘과 미술 활용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about the Therapeutic Power of Art and the Utilize of Art: Focusing on the Clinification Syndrome of Art Therapy

  • 94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들의 임상 경험 안에서 미술이 활용되는 방식을 조명함으로써, 임상화에 저항하는 미술치료 담론에 단초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 및 미술치료 임상화 현상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3명의 미술치료사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연구참여자들이 이야기하는 미술의 치료적 힘은 무엇인가?,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미술치료 현장에서 미술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셋째, 연구참여자들의 미술치료 경험에서 발견되는 미술의 치료적 힘과 미술 활용은 미술치료의 임상화 현상과 어떠한 맥락적 의미를 형성하는가? 라는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하나의 선으로 엮어진 그들의 이야기는 미술치료의 한계와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개척, 미술의 치료적 힘과 미술 활용의 축소로 범주화되었으며 연구참여자들의 이야기에서 발견한 미술치료의 임상화 현상은 ‘한계와 개척이 임상화 안에 머무르는 굴레 형성’, ‘제한된 미술치료로 시작’, ‘미술치료사의 괴리와 고립’, ‘미술과 멀어진 미술치료사’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hed light on the ways art is utilized within the clinical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providing a foundation for discourse on resisting the clinification syndrome of art therapy. To this end,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s of art therapy and the phenomenon of clinification in art therapy was conducted, followed by a narrative inquiry with three art therapists. The study set out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therapeutic power of art as described by the participants? Second, how do the participants utilize art in the field of art therapy? Third, what contextual meanings are formed by the therapeutic power of art and its utilization, as discovered in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in relation to the phenomenon of clinification in art therapy? The findings, interwoven into a single narrative, were categorized into the limitations of art therapy and pioneering efforts to overcome them, the therapeutic power of art and its reduction in utilization. The clinification phenomenon of art therapy discovered in the participants’ stories exhibited characteristics of “forming a cycle of staying within the boundaries of clinification,” “starting with limited art therapy,” “isolation and disconnection of art therapist,” and “art therapists becoming distant from ar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