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정신장애 당사자의 주거서비스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DOI : 10.22589/kaocm.2024.51.79
  • 42

본 연구는 주거서비스를 경험하는 정신장애 당사자가 지역사회통합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탐색하여 현장에서의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거서비스 이용 경험의 맥락과 의미들을 보다 풍부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지역사회전환시설, 생활시설, 공동생활가정, 자립체험주택의 주거서비스 유형 2개 이상을이용했던 당사자 8명을 선정하였다. 반구조화된 심층 면접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속적 비교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①자립에 대한 막연한 바람, ②실전적인 준비로 일상의 감각을 찾아감, ③든든한 지원자가 힘이 됨, ④당근과 채찍 견뎌내기, ⑤자립에 대한 확신이라는 5개의 범주와 11개의 패턴, 31개의 의미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정신장애 당사자의 주거서비스 경험은, 주거에 대한 자발적 선택권을 확대해가면서든든한 지원자를 통하여 자립의 막연함에서 자립의 가능성을 구체화해나가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정신장애 당사자의 지역사회통합 과정을 지원하는 주거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who receive residential services during the process of community integration, and to propose practical measures in this field.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and significance of using residential services, eight participants who have utilized two or more types of such services, including halfway houses, living facilities, communal living families, and self-reliance experience housing, were selected.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a continuous comparison method. The analysis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5 categories, 11 patterns, and 31 meanings: ① a vague desire for independence, ② finding a sense of daily life through practical preparation, ③ receiving empowerment from applicants, ④ enduring rewards and punishments, and ⑤ gaining confidence in independence. This study reveals that the experience of housing services for individuals with mental disabilities is a process of realizing the possibility of independence, starting from a vague desire, and driven by strong applicants, while also expanding voluntary housing op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 housing service plan is proposed to support the community integration process for individuals with mental disabilit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