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경제생활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 연구
A Study on Contents Development of Adolescents’ Economic-Life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 제6권 제2호
-
2024.0631 - 64 (34 pages)
-
DOI : 10.23108/decrc.2024.6.2.31
- 179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경제생활역량의 자기이해와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콘텐츠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요구조사, FGI, 현장적용 평가 등을 통해 실제적인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의 방향성을 정립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콘텐츠는 청소년들이 돈에 대한 자신의 특성과 역량을 인지하고 돈에 대한 자신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성과 방법을 학습하여 경제생활역량을 향상시킴으로써, 자신의 경제적 진로역량을 강화하고 경제적 자립력을 강화하여 진로지속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하였다. 청소년 경제생활역량의 자기이해 및 강화 프로그램은 돈에 대한 16가지 성격유형인 <머니 타입>과 돈에 대한 3차원(벌기 역량, 쓰기 역량, 불리기 역량)의 <머니 파워>의 두 가지 주제로 각 3차시로 구성하고 각각의 세부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 콘텐츠를 평가하기 위하여 부산 소재 S중학교 3학년 10개 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교육효과를 평가하였다. 참여 학생들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프로그램을 지도한 교사들은 이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경제적 진로역량(진로지속역량)의 강화에 도움이 되는 유의미한 프로그램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실제적인 경제생활역량과 경제적 진로역량(진로지속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evaluate the contents program for enhancing economic-life competencies among adolescents. Method: According to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the direction of realistic program content design was established through needs survey, FGI, and field application evaluation. Results: The program consists of mainly two parts: “Money Type” and “Money Power.” Then, each part comprises into three sessions. Detailed contents were developed for each of these component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S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voluntarily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students evaluat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resources for developing various programs and policies aimed at strengthening the economic-life competencies of young peopl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청소년 경제생활역량 강화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
Ⅳ. 청소년 경제생활역량 강화 프로그램 콘텐츠 평가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