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직장협의회 운영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조직공정성, 성인지 감수성, 재량권과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the Police Public Officials' Council: Focusing on Organizational Fairness, Gender Sensitivity, Discretion, and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 36,423명을 대상으로 조직공정성, 성인지 감수성, 재량권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경찰직장협의회 도입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경찰직장협의회 운영이 그들의 처우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지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조직공정성, 재량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주어 직무만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공정성, 재량권에 있어서 경찰직장협의회 운영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주어 조직공정성, 재량권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성인지 감수성에 있어서 경찰직장협의회 운영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영향을 주어 성인지 감수성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약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공정성과 재량권 강화의 중요성과 성인지 감수성 관리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이에 더해, 경찰직장협의회 운영은 경찰공무원의 처우개선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특정 부분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주어 개선의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gender sensitivity, and discretion on job satisfaction for 36,423 police officials,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peration of the police public officials' council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introducing the police public officials' counci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fairness and discre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peration of the police public officials' council o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discre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discretion, and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peration of the police public officials' council on gender sensitiv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weak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sensitivity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organizational fairness and discretion, and the necessity of managing gender sensitivity.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police public officials' council showe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treatment of police officials, but it showed that efforts in certain areas were needed, suggesting that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