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ICOM’S New Museum Definitionand Korean Public Museums: A Focus on Museum Activism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43권 2호
- 2024.06
- 27 - 53 (27 pages)
이 연구의 목적은 무엇보다도 한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공립박물관의 질적인 성장을 위한 시론적 단계의 논의이다. 2022년 개정된 국제박물관협의회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를 바탕으로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을 살펴보고 유럽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Museum Activism 담론을 기반으로 한국 공립박물관의 방향성을 제고해 보았다. 새로운 박물관 정의는 결국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여기에 등장한 포용성, 다양성, 지속가능성은 행동주의적 박물관과 그 맥을 같이한다. 따라서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개체로 박물관을 바라봐야 하는 것이 중요시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한국 공립박물관은 정책 수립에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방안을 강구해야하고, 소장품의 활용을 사회 문제와 접목시킬 필요성이 대두된다. 다음으로 박물관은 ‘무엇’이 아닌 ‘왜’라는 질문에 답하는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직원의 소양 교육을 통해 변화된 박물관을 직원들이 인지할 필요가 있으며 수평적 조직문화를 지향하여 박물관의 발전을 기대해 보는 것이 행동주의적 박물관의 핵심이다. 박물관은 이제 변화의 시점을 맞이하였다. 본 연구가 한국 공립박물관들의 행동주의적 태도를 갖출 수 있는 마중물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presents a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qualitative growth of Korean public museums, which constitute the majority of museums in the country. Based on the newly revised definition of museums by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ICOM) in 2022, this paper examines the social role of museums and explores the direction of Korean public museums based on the emerging discourse of Museum Activism in Europe. The new definition emphasizes the social role of museums, and the concepts of inclusivity, diversity, and sustainability highlighted therein resonate with the principles of activist museums. Consequently, it is crucial to view museums as potential agents for solving social problem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Museums are now at a crossroads. This study endeavors to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Korean public museums to embrace an activist stance. By incorporating the aforementioned recommendations, Korean public museums can evolve into active agents of social change, contributing to the betterment of society.
Ⅰ. 서론
Ⅱ.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사회적 역할
Ⅲ. Museum Activism 담론과 한국 공립박물관의 방향성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