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Students’ and Professors’ Perceptions of Good Classes: A Case Study of A University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43권 2호
- 2024.06
- 83 - 107 (25 pages)
본 연구는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수자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지방 중소형 A 대학교의 학생 270명, 교수자 64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에서 도출된 단어를 7개 범주(수업방법, 교수자, 정서동기부여, 학생 맞춤, 수업 관리, 학습성과, 교과목 특징)로 분류하여, 학생의 좋은 수업 정의와 교과목 추천이유, 전공계열별(캠퍼스별) 좋은 수업 인식 비교, 학생과 교수자의 인식 비교를 하였다. 학생의 좋은 수업 정의에서 도출된 단어는 수업방법, 학생 맞춤, 교수자 순으로 범주가 높았으며, 학생 전공계열간 비교에서 의료보건자연공학 계열은 학생 맞춤과 수업방법 범주에서 동수로 키워드 도출 빈도가 높았지만, 인문사회교육계열은 수업방법이 가장 높고, 다음 순위 범주는 교수자 태도로 학생의 전공계열특성에 따라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학생의 좋은 수업 추천이유에서 학생 맞춤 범주가 가장 높은 1순위로 도출되어, 학생 개개인이 성취감을 경험한 학생 맞춤형 수업을 추천하여, 좋은 수업 정의보다 자신의 구체적 경험을 근거로 정의할 때 좋은 수업에 대한 암묵적 인식이 명확하였다. 교수자의 설문에서 좋은 수업 정의에서 도출된 단어는 수업방법, 학습성과 범주 순이었다. 교수자는 학생보다 학습성과를 중시하며, 교수자 태도, 수업 관리 등의 범주는 학생보다 도출 빈도가 낮았다. 연구결과는 학생의 전공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수업 운영, 학생 개별적 성취감을 주는 수업, 학생과 상호작용하는 교수자의 소통 태도, 수업 관리(시간, 과제와 시험 안내 및 피드백, 출석, 평가 등)의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좋은 수업 운영을 위해 교수역량 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학생 특성에 따른 맞춤형 교수법 프로그램 지원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of good classes among students and professors at a medium-sized university in a local province. 270 students and 64 profess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s analyzed through keyword analysis using the R program were analyzed into seven categories; teaching methods, professor competence, emotion and motivation, student centeredness, class management, learning achievement, and subject matter. Compar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plore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students’ definitions and recommendtion reasons for good classes, between two campuses based on students’ majors, and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In students’ definitions of good classes, teaching methods and student centeredness emerged as the most highly ranked categories, and professor competencies were followed. On the medical-mechanical-natural science campus, student centeredness and teaching methods were equally highly ranked, while teaching methods was prioritized over professor competencies on the liberal arts-social science campus. Perception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between the two campuses. Regarding students’ recommendation reasons for good classes, student centeredness was ranked most highly, indicating that students emphasized personal achievement experience in defining good classes. In contrast, professors prioritized teaching methods and then learning achievements, placing greater importance on the latter. Professors tended to assign less importance to professor competencies or class management compared to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good classes must be regarded differently based on subject matters. Professors should place more emphasis on effective class management practices such as time management, guidance or feedback about projects, tests, and scor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open communication abilities. The findings suggest a need for teaching workshops to improve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ies, aligning with good class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