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어문연구 第120輯.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어 어미 체계에 대한 재고

Reconsideration of Korean language ending system

DOI : 10.17297/rsll.2024.120..001
  • 71

이 논문은 국어 어미 체계에 대한 연구로 논문에서는 (i)한국어에 어미 체계가 실재하는지를 검토하였고, (ii)현행 학교 문법에서 제안하고 있는 국어 어미 체계의 특징과 한계가 무엇인지 밝혔고, (iii) 현행 국어 어미 체계의 대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고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시제, 서법, 존대, 상, 양태 등과 같은 문법적 내용을 용언의 어간에 더하는 문법형태소인 어미를 800개가 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어미에 해당하는 문법형태소가 800개가 넘는다는 사실과 한국어 화자들이 많은 수의 어미를 혼동 없이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한국어에 어미 체계가 실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고 제안하였다. 한국어에 어미 체계가 실재하다는 제안을 토대로 현행 학교 문법에서 제안하고 있는 어미 체계의 특징과 한계를 검토하였다. 현행 학교 문법에서 제안하고 있는 어미 체계에서는 “어미” 또는 “X-어미”라는 범주를 설정하고 있으며 설정된 범주는 상위 어미 범주로부터 2개의 하위 어미 범주로 분화하여 하나의 체계(system)를 구성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현행 학교 문법에서 제안하고 있는 어미 체계에서는 (i)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중간 어미 범주(어말어미, 비종결어미 등)를 설정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ii) 하위 어미 범주들을 분류하는 설정 기준이 일관되지 않는다는 점이 한계인 것을 확인하였다. 본고에서는 현행 학교 문법에서 제안하고 있는 어미 체계의 대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선어말어미와 어말어미의 교착어에 나타나는 특징을 구분하고 선어말어미를 어미 체계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둘째, 중간 어미 범주에 해당하는 비종결어미를 제외하고 어말어미로부터 종결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로 직접 분화하는 것으로 설명하였고 이들은 서로 상보적으로 분포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셋째, 종결어미와 연결어미는 정동사와 부동사의 특징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특징은 (i) 선어말어미와의 공기 여부와 관련되며 (ii) 절대적인 특징이 아니라 정도성의 차이로 이해된다고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통일적인 설정 기준, 선어말어미와의 공기 여부(정동사와 부동사의 특징)에 따라 종결어미, 연결어미 그리고 전성어미는 하나의 연속체(continiuum) 이루며 어미 체계를 구성한다고 제안하였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ending system. It examined (i) whether the ending system actually exists in the Korean language, (ii)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Korean language ending system proposed in the current school grammar, (iii) if possible, what is an alternative system to the current Korean ending system were discussed. In this paper, we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there are more than 800 endings, which are grammatical morphemes that add grammatical contents such as tense, penmanship, respect, aspect, and mode to the stem of an verb. In particular,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to explain the fact that there are more than 800 grammatical morphemes corresponding to endings and the reason why Korean speakers use a large number of endings without confusion, we have no choice but to acknowledge the fact that the ending system exists in Korean. Based on the suggestion that the ending system exists in the Korean languag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ending system proposed in the current school grammar were reviewed. In the ending system proposed in the current school grammar, it is set as a category called “end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upper ending category is classified into two lower ending categories to form a system. Despite these characteristics, the ending system proposed in the current school grammar (i) establishes intermediate ending categories (final endings, non-final endings, etc.) whose existence is difficult to confirm and (ii) shows the standard set is inconsistent when category of “ending” is classified as lower ending categories. In this paper, the following information wa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the ending system proposed in the current school grammar. First, the characteristics appeared in agglutinated words of pre-final endings and final endings were distinguished. Pre-final endings were not included in the ending system. Second, excluding “non-final endings” that fall into the middle ending category, it was explained that they are directly differentiated from final endings into “final endings”, “connective endings” and “transformative endings”, and it was mentioned that these are distributed complementary to each other. Third, final endings and connective endings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ite verbs and the infinitive verbs, and these characteristics are (i) related to the co-occurrence with pre-final endings and (ii) understood as a difference in degree rather than an absolute characteristic. As a result, it was proposed that final endings, connective endings, and transformative endings form a continuum and form a ending system based on a single standard for setting that can occur with the pre-final endings (a characteristic to determine whether a ending is closed to the a finite verb or to a infinitve verb).

1. 머리말

2. 현행 국어 어미 체계 실재

3. 현행 국어 어미 체계의 특징과 한계

4. 국어 어미 체계의 대안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