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복식 호흡과 노래 부르기를 통한 호흡 기능 개선 영향도 분석

Analyzing the Effects of Diaphragmatic Breathing and Singing on Respiratory Function Improvement

  • 104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제8권 제1호.jpg

본 연구는 복식 호흡과 노래 부르기 중재가 30대 이상 여성의 호흡 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분석과 유용성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충남 C시 S대학교 재학 중인 호흡 기능의 노화가 진행되지 않은 20대 여성 46명 중 12명을 샘플링하여 대조군 배정하였고, 노화가 시작된 30대이상 일반인 여성 12명에 대해 실험 참여 기준 미충족 3명을 제외한 9명으로 실험군을 배정하였다. 모든 참가자는 진단 폐활량계를 통해 호기 폐활량, 호기 예비량, 흡기 예비량, 분당 환기량, 일회 호흡량에 대한 5가지 호흡 기능 검사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은 4주간 주 3회 60분씩 총 12회기의 복식 호흡과 노래 부르기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이에 대하여 복식 호흡과 노래 부르기의호흡 기능 개선 효과를 검사 항목별로 분석하였고 중재 전, 후 실험군 간 호흡 기능 검사 결과비교에서 호기 폐활량은 2.87L에서 3.00L로 4.5%, 호기 예비량은 0.91L에서 1.16L로 27.5%, 분당환기량은 7.00L/min에서 8.17L/min로 16.7% 증가되었다. 따라서 우리의 실험 결과를 통해 복식호흡과 노래 부르기의 5가지 호흡 기능 개선 효과 검증과 호흡 기능 향상에 대한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무용 동작을 적용하여 호흡 기능 개선과 심리 치료에 대한 통합적 접근 방법으로 확장을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f diaphragmatic breathing and singing interventions on respiratory functions in women over 30 and to demonstrate their utility. The subjects were 46 women in their 20s from S University in C City, Chungnam, who had not yet exhibited the typical respiratory decline associated with age. A total of 12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is group and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mprised nine women over the age of 30, with the exception of three individuals who did not meet the established criteria for participation. All participants underwent five types of respiratory function tests using a diagnostic with the objective of assessing, assessing expiratory vital capacity, expiratory reserve volume, inspiratory reserve volume, minute ventilation, and tidal volum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12-session program, or comprising diaphragmatic breathing and singing for 60 minutes three times a week over four weeks. Comparing the results of respiratory function tests in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expiratory vital capacity increased by 4.5% from 2.87L to 3.00L, expiratory reserve increased by 27.5% from 0.91L to 1.16L, and minute ventilation increased by 16.7% from 7.00L/min to 8.17L/min. Consequently, this study confirms the effectiveness of diaphragmatic breathing and singing in enhancing respiratory functions and their utility in improving respiratory health. Future research could expand these findings by incorporating dance movements into an integrated approach for respiratory function improvement and psychotherapy.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V.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