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코칭 기법을 스포츠 현장에 다시 적용할 수 있을까?
Can coaching techniques from management be applied again in sports settings?: Exploring through a case study of coaching application in practical classe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 14

본 연구는 체육 전공 실기수업의 기존 교수법에서 벗어나 경영 코칭 기법을 접목한 학습 방법을 도입하여 학습자들이 경험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의미와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것을 통해 경영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철학과 코칭 기법 등을 스포츠 현장에 다시 적용, 접목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W시에 소재한 S대학교 체육학과 학생들 14명을 대상으로, 골프 실기수업 시간에 코칭을 적용하고, 그 과정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전통적인 학습 방법인 교육(teaching)에 익숙해져 있어서 경영 코칭 기법을 접목한 학습 방법에 대해 낯설다는 느낌을 표현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한 문제점을 스스로 해결하는 데 필요한 자기성찰 과정을 어려워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문제점을 개선하는 과정보다 눈앞에 나타나는 결과 자체에 더 집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경영 코칭 기법을 접목한 학습 방법에 관한 수업방식에 대해 부분적으로 효과를 인식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코칭 기법에 관한 인식은 연구자가 기대하는 것과 다르게 나타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체육과 실기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의 코칭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meanings and outcomes experienced by learners by introducing a learning method that integrates coaching techniques into physical education practical classes, departing from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The goal was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applying philosophies and coaching techniques used in management contexts back into sports settings. To achieve this objective, 14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t S University in W City participated in golf practical classes where coaching was applied, and the process was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accustomed to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struggled with the learning method integrating management coaching techniques. Second, participants felt the need for more self-reflection time (process) to solve the problems they experienced. Third, participants tended to fixate more on the immediate results than on the process of improving issues.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nts partially recognized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method incorporating management coaching techniques, and their perception of coaching techniques did not align as expected by the researcher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a new perspective on coaching programs applicable to physical education practical classes was propo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