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양성과정 교직이론 담당 교강사의 통합교육 인식과 과목 내 통합교육 고려 현황
Perspectives of professors instructing teacher education theory courses about inclusive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considering inclusive education content within their courses
- 30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원양성대학에서 교직이론 과목을 담당하고 있는 교강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직이론 과목 수업에서의 연계 운영 현황을 확인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인구학적 정보, 다양성 관련 경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교직이론 강의현황, 서술형 제언 문항을 포함해 총 5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195명의 응답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양적 데이터의 경우 기술통계 분석과 변인 간의 연관성 확인을 위해 t-검정 혹은 상관 분석을 시행했으며, 서술형 문항에서 수집된 질적 데이터에 대해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통합교육에 대해 중립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인구학적 정보보다 다양성 관련 사전 경험과 특수교육 전공 교수와의 협업 경험이 교강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통합교육 관련 요소를 수업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서술형 제언의 분석 결과, 학습자 다양성에 대한 수업 필요, 교직이론 교강사 지원, 현장에 대한 이해 증진, 인식 변화로 구성된 4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는 교원양성과정의 개선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n online survey of professors instructing teacher education theory courses 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South Korea to determine their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integrating inclusive education content into their teacher education theory courses. A total of 195 respons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mputed; t-tests or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The qualitativ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fessors had neutral attitudes towards inclusive education. Prior diversity-related experience and collaboration with special education professors were more influential than demographic information in influencing their attitudes toward inclusion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Four overarching 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responses. Based on the results,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improv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better reflect the needs of the inclusive education fiel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