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유관순연구 제29권 제1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일제강점기 조선 언론에 비친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

The Great Kanto Earthquake in Japanese Colonial Era’s Colonial Joseon Media Reflect the Massacre of Koreans

DOI : 10.56475/ygsrc.2024.29.1.29
  • 88

논문은 1923년 9월 1일 일본 관동지방에서 일어난 대지진(관동대지진) 당시 발생한 ‘조선인학살’에 대한 식민지 조선 언론의 동향과 인식을 분석하였다. 관동대지진 발생 이후 혼란한 상황에서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킨다.’, ‘우물에 독을 넣었다.’, ‘강간을 한다.’ 등등의 유언비어가 난무하였고, 이로 인해 6천여 명이 학살되었다.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학살은 식민지 조선에서 ‘금기어’였다.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을 목도한 조선인은 참담한 심정이었지만 귀환한 후에는 식민통치의 감시 대상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은 철저하게 통제되었다. 그렇지만 9월 하순에 이르러 자경단 학살 보도와 재판 관련 보도와 함께 조선인학살이라는 표현도 조심스럽지만 보도되었고, 관련 가십 기사와 사설 등 보다 광범위하게 기사로 다루어졌다. 이 같은 언론보도의 경향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동대지진 식후 조선인학살과 관련된 보도는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이를 인지할 수 있는 뉘앙스의 기사가 조심스럽게 보도되었다. 그렇지만 언론은 조선인학살과 관련된 보도를 읽는 독자들은 이를 인지할 수 있을 정도로 보도되었다. 둘째, 조선인학살과 관련된 재판 보도는 10월 이후 보도되었다. 이는 일본 현지의 기사를 전제 또는 부분적으로 보도하면서 기사화되었다. 재판 보도는 아마카스(甘粕正彦) 대위의 사회주의자 오스기(大杉榮) 학살사건을 다루면서 시작되었지만, 점차 조선인학살 관련 보도가 확대되었다. 셋째는 조선인학살 진상규명은 식민지 조선보다는 일본과 미국 등 국외에서의 활동을 보도하였다. 이와 같은 조선인학살 진상규명 보도는 국외에서의 활동만으로 제한적인 것은 식민지 조선에서 진상규명을 위한 조직적인 활동을 할 수 없는 상황과도 밀접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trends and perceptions of the colonial Joseon media about the 'Korean genocide' that occurred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Great Kanto Earthquake) in Japan on September 1, 1923. After the Kanto Great Earthquake, rumors such as Koreans rioting, poisoning wells, and rape were rampant, and more than 6,000 people were slaughtered. At the time of the Kanto Great Earthquake, the massacre of Koreans was ‘forbidden’ in colonial Joseon. Koreans who witnessed the massacre of Koreans in the Kanto Great Earthquake felt terrible, but after returning, they were subject to the colonial rule's surveillance. Therefore, the massacre of Koreans in the Kanto Great Earthquake was thoroughly controlled. However, at the end of September, the expression “the massacre of Koreans” was carefully reported along with reports of the massacre of the vigilante group and related to the trial, and it was covered more widely in articles such as related gossip articles and editorials.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reports related to the massacre of Koreans after the Kanto Great Earthquake were carefully reported with nuances that could recognize them rather than direct expressions. However, the media reported enough that readers who read reports related to the massacre could recognize this. Second, reports of trials related to the Korean genocide have been reported since October. This was published with a premise or partial report on a local Japanese article. The trial report began with the handling of Captain Amakas’ case of the Osgi massacre, but gradually, reports related to the Korean genocide expanded. Third, the fact-finding of the Korean genocide reported on activities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Japan and the United States rather than colonial Joseon. Such reports on the fact-finding of the Korean genocide can be said to be close to the situation in which it is not possible to conduct systematic activities for fact-finding in colonial Joseon.

Ⅰ. 들어가며

Ⅱ. ‘조선인학살’ 뉘앙스와 유언비어 단속 보도

Ⅲ. ‘조선인학살’ 재판에 대한 언론보도

Ⅳ. ‘조선인학살’과 진상규명에 대한 언론보도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