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비평과 이론 제29권 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경계 밖(Extra moenia)에서: 내적불안(Inquietudine)은 연대의 가능성일까, 파편화(frantumaglia)일까

Extra moenia: Does inquietudine Offer Solidarity or frantumaglia?

DOI : 10.19116/theory.2024.29.2.31
  • 144

타부키는 ‘내적 불안’을 존재론적 차원의 노스탤지어로 정의하고, 이를 감지하는 소외 집단이 ‘경계 밖’으로 탈주하는 양상을 문학을 통해 제시했다. 페란테는 ‘파편화’된 주체가 ‘탈경계’를 통해 새로운 주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이는 타부키의 ‘내적 불안’과 ‘탈경계’ 개념을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한다. 두 작가 모두 문학을 통해 주체의 해체와 재구성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주체 형성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문학적 논의는 이탈리아 철학자들이 ‘시니스테리타스’ 개념을 통해 제시하는 저항적 주체 형성과 사회 변혁 논의와 맥을 같이 한다. ‘시니스테리타스’는 기존 질서에서 배제되고 소외된 존재를 의미하며, 타부키와 페란테 작품 속 소외 집단과 유사한 맥락을 지닌다. 이탈리아 철학자들은 ‘시니스테리타스’의 주체화를 통해 기존 질서에 저항하고 새로운 정치적 주체성을 모색하며, 이는 문학 작품에서 나타나는 ‘탈경계;와 새로운 주체 형성 가능성과 상응한다.

Tabucchi defines inquietudine (disquiet) in terms of ontological nostalgia. His novels illustrate how marginalized groups escape “the boundaries.” Similarly, Ferrante shows how a subject experiencing frantumaglia (fragmentation) forms a new subjectivity through La smarginatura. There is sympathy between Tabucchi’s inquietudineand Ferrante’s La smarginatura. Both authors show the process of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subject through literatur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new subject. These literary discussions are congruent with Italian philosophers’ discussions of resistant subject formation and social transformation through the concept of sinisteritas—those excluded from the existing order—similar to the marginalized groups in Tabucchi and Ferrante’s works. Through the subjectification of sinisteritas, Italian philosophers resist the existing order and seek new political subjectivities. This corresponds to the possibility of La smarginaturaand new subject formation in literary works.

Ⅰ. 들어가는 글

Ⅱ. 저주받은 철학과 경계 밖의 작가들

Ⅲ. ‘내적불안’과 ‘타자성’의 주체성

Ⅳ. ‘소외(emarginazione)’와 ‘탈경계(Smarginatura)’

Ⅴ. 결론

인용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