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비평과 이론 제29권 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Mapping the Landscape of the Manosphere within the Analytical Framework of Wave and War

Mapping the Landscape of the Manosphere within the Analytical Framework of Wave and War

DOI : 10.19116/theory.2024.29.2.151
  • 56

필자는 이 논문에서 현재 한국 사회의 복잡다단한 상황들을 읽어내는 인식의 격자무늬로 다음의 두 가지 개념틀을 채택하고자 한다. 우선 페미니즘 운동을 물결이라는 유체적인 것(fluid)으로 비유하는 방식이 다양한 신체, 힘, 에너지, 물질, 욕망, 사유의 복합체로 작동하는 페미니즘에 대한 적합한 분석인지와 안티 페미니즘 백래시가 페미니즘 제4물결이라는 유체성을 마초적 부족주의라는 영토성, 고체성으로 반격해내는 전술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두 번째로 페미니즘에 대한 백래시 현상에서 두드러지는 남성 중심 온라인 생태계(manosphere)에서의 여성 증오에 입각한 물질-담론적 실천(material-discursive practices)의 확산을 젠더 전쟁(gender war)으로 읽어낼 수 있는지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전쟁이란 인간-비인간 집합체의 네트워크이자 물질적인 것과 기호적인 것의 얽힘이라고 할 때에, 여성 증오, 여성 적대를 기반으로 한 젠더 전쟁의 테크놀로지들을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전쟁 모델을 통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여성증오전선 앞에 가로놓인 현재 한국 페미니즘 운동과 이론의 지형도를 그려보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aim to adopt two conceptual frameworks as a latticework of perception to read the complex and multifaceted situation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First, I will explore whether the metaphor of feminism as a fluid wave is a suitable analysis for understanding feminism as a complex of various bodies, forces, energies, materials, desires, and thoughts, and how the anti-feminism backlash counters the fluidity of the fourth wave of feminism with the territoriality and solidity of macho tribalism. Second, I will examine whether the spread of material-discursive practices based on misogyny within the male-centric online ecosystem (manosphere) in the backlash against feminism can be read as a gender war. Considering that war is a network of human and non-human assemblages and an entanglement of material and symbolic elements, I will analyze the technologies of the gender war based on misogyny and female antagonism through Michel Foucault’s war model. Through this analysis, I aim to map the current landscape of feminist movements and theories in Korea confronted with the frontlines of misogyny.

Ⅰ. Introduction

Ⅱ. Feminism as Waves, Feminism as Fluid

Ⅲ. Gender War

Ⅳ. Conclusion

Works Cited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