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산업기술연구논문지 제29권 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부 비알코올 맥주의 우식활성능 비교

A Study on the Dental Caries Activity of Some Non-alcoholic Beer

DOI : 10.29279/jitr.2024.29.2.1
  • 35

최근 대중들에게 비알코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분표가 공개된 일부 비알코올 맥주와 알코올 맥주에서 비알코올의 치아 탈회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pH와 완충능을 측정하였고 치아우식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를 실험 음료가 희석된 배지에 배양하여 biofilm의 형성도를 비교하였 다. 그 결과, 비알코올 맥주의 pH는 치아 탈회가 일어나는 임계 pH인 pH 5.5 이하로 나타났으며 비알코올 맥주는 동일한 상표의 알코올 맥주보다 완충능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일부 비알코올 맥주에서 biofilm 형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일부 비알코올 맥주에서 치아우식의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이를 기초로 하여 더 다양한 비알코올 맥주에서 구강 내 상태를 재현하고 치아우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한 우식활성능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growing popularity of non-alcoholic beer in society demands an investigation of their potential impact on oral health. This study compared the dental caries activ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non-alcoholic beer with that of their alcoholic counterparts, focusing on factors that influence demineralization. We measured the pH and buffering capacity of both beer types since they directly affect tooth enamel erosion. Streptococcus mutans was cultured on agar media containing the experimental beverages to assess biofilm form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H of all non-alcoholic beer were below the critical level (5.5) for enamel demineralization. Furthermore, their buffering capaciti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ir alcoholic counterparts. Biofilm formation by S. mutans was higher in non-alcoholic beer (P<0.001).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potential risk of dental cariesassociated with specific non-alcoholic beer, emphasizing the need for a broader assessment across various non-alcoholic beer types, considering the factors influencing dental caries and real oral conditions. Further research is warrant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ir impact on dental health.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Ⅳ. 결 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