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는 가상융합환경으로 아바타를 통한 사회적 관계 유지와 사용자간 다양한 문화적 활동을 통해 포용성과다양성을 증진시킨다. 일상의 활동을 메타버스에서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메타버스환경에서 구성원간 유용하고 정확한 정보 전달과 상호교환, 공유 등은 매우 중요해졌다. 메타버스에서 아바타를 대화를 통해 원하는정보를 얻고자 하는 욕구와 구성원의 요구사항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LLM기반으로 생성형 AI를 메타버스플랫폼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폴리텍대학 메타버스플랫폼의 구조를 재설계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구현에 따른 실험 사례 제시를 통해 메타버스환경에서도 LLM을 구성하고 답변을 생성하는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향후연구에서는 메타버스플랫폼에 다양한 생성형 AI모델을 적용한 뒤 비교분석을 통해 맞춤형 모델을 제시하고 자체 LLM 모델 구현 관련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
A metaverse is a virtual convergence environment that promotes inclusiveness and diversity by maintaining social relationships among users through avatars and engaging them in various cultural activities. Because everyday activities can be maintained the same in a metaverse environment, the transmission, exchange, and sharing of useful and accurate information among members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has become important. Additionally, the desire and requirements of members to obtain the desired information through conversations with avatars in a metaverse are increasing; the number of these cases is also increasing.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redesigned and implemented the structure of the metaverse platform at Korea Polytechnics such that generative AI based on an LLM could be utilized on the metaverse platform. By presenting experimental example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we confirmed that an AI-based service could be provided that configured the LLM and generated answers in the metaverse. In future research, we plan to apply various generative AI models to the metaverse platform, present a customized model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and continue research on implementing our LLM model.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메타버스 구현 현황
Ⅲ. 메타버스에서의 생성형 AI 설계와 구현
Ⅳ. 결론 및 향후 연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