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제정책 불확실성과 회사채 신용등급 간의 관련성에 대해 고찰한다. [연구방법] 2011년부터 2022년까지 2,847개의 기업-연도 표본을 사용하여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이하, EPU Index)와 회사채 신용등급의 관련성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제정책 불확실성과 기업의 회사채 신용등급 간에 유의한 음(-)의 관련성이 발견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북한의 지정학적 위험 및 글로벌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회사채 신용등급과 유의한 음(-)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정책 불확실성과 회사채 신용등급 간의 음(-)의 관련성은 유가증권시장에 소속된 기업들에게서 약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경제정책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위험 같은 거시적 외생변수들이 신용등급의 결정요인으로써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실무적 공헌점이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기업 신용평가와 관련된 정책 수립 및 의사결정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uncertainty and corporate bond ratings. [Methodology] Using a sample of 2,847 firm-years from 2011 to 2022, this study conducts empirical analyses on the association of the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dex (EPU Index) with corporate bond ratings. [Findings] From regression analyses, this study finds a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the corporate bond rating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finds that North Korea’s geopolitical risk and global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rporate bond ratings. In addi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corporate bond rating is to be alleviated for firms listed on the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market (KOSPI market). [Implications] This study has academic and practical contributions as it discovered that macroeconomic exogenous variables such 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geopolitical risk can be one of important determinants of credit ratings.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for policy development and decision-making process of corporate credit rating.
Ⅰ. 서 론
Ⅱ. 연구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설계
Ⅳ. 분석 결과
Ⅴ. 추가 분석
Ⅵ.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