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환경통제시스템과 환경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정루틴의 매개적 역할에 대해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에서의 일관되지 않은 결과들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과 PLS를 이용하여 연구가설들을 검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표본으로는 국내에 상장된 600대 제조기업 중 설문에 응답한 100개 기업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환경통제시스템은 대체적으로 환경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환경통제시스템이 조정루틴에는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정루틴 또한 환경성과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환경통제시스템이 직접적으로 환경성과를 개선시키지는 못하지만 조정루틴을 통해 간접적으로 환경성과를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의 시사점] 환경통제시스템과 환경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 연구한 선행연구는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한편, 관련된 선행연구는 환경통제시스템이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정확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가 조정루틴을 효과적으로 작동하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통제시스템의 구축 및 활용 뿐 아니라 환경통제시스템을 통한 조정루틴의 강화가 환경성과 향상을 위한 주요한 요인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mediating role of the coordination routin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control systems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This analysis is expected to complement the inconsistent findings in the related prior literature. [Methodology] The study construc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uses Partial Least Squares (PLS) to test hypotheses. The sample includes 100 firms out of top 600 large manufacturing firms that have responded to the survey. [Findings] The results show that ECO-control systems generally do not have a direct impact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However, it is found that ECO-control system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ordination routines, and coordination routines als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while ECO-control systems may not directly improve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y can indirectly enhance it through coordination routines. [Implications]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control systems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have not shown consisten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not only th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ECO-control systems but also the enhancement of coordination routines through these systems may be crucial factors for improving environmental performanc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