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등학교 교권 침해에 관한 석·박사 학위논문 동향 분석
Analysis of Trends in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Teacher Rights Violation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Focusing on the Enactment of the Gyeonggi Province Student Rights Ordinance
- K-콘텐츠학회(구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 K콘텐츠연구
- 11권 1호
- 2024.06
- 21 - 32 (12 pages)
본 연구는 교권 침해 문제에 대한 최근 14년간(2011~2024) 석·박사 학위논문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교권 침해는 전 세계적으로 교육계의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에 관한 연구는 교사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국회도서관과 RISS에서 ‘교권 침해’를 키워드로 검색된 석·박사 학위논문 39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기준은 연구주제, 연구 방법, 연구대상, 연구 시기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교권 침해 관련 연구는 피해 교원의 경험과 교사들의 인식 분석에 집중되었으며,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대상은 대부분 교사였고, 석사 학위 논문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지 논문 및 다양한 자료를 포함한 포괄적 연구, 학생과 학부모를 포함한 연구 확대, 문헌 연구 및 혼합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교권 침해 문제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와 실질적인 대책 마련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teacher rights violations over the past 14 years (2011-2024). Teacher rights violations have emerged as a significant issue in the global education sector, necessitating institutional measures to protect teachers. This research analyzed 39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btained from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RISS, using the keyword “teacher rights violations.” The analysis criteria were set based on research topics, methods, subjects, and period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research on teacher rights violations mainly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victimized teachers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redominated.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teachers, and master’s theses constituted the bulk of the stud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comprehensive research including journal articles and various materials, expanding the research to include students and parents, and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literature and mixed-method research.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ssue of teacher rights violations and the formulation of practical measures to address i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