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K-콘텐츠학회(구 평생교육리더십연구) 11권 1호.jpg
학술저널

아동인권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정책 분석 연구

A Study on Career Education Policy Analysis of Korea’s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Rights

  • 259

본 연구는 우리나라 17개 시·도교육청의 진로교육 정책 및 프로그램을 아동권리 관점에서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2018년 진로교육법 시행령 개정이후 진행해 온 시·도교육청의 주요 진로교육 정책 및 프로그램 자료를 교육부와 각 교육청 홈페이지를 통해 수집하고 문헌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개발역량 신장 프로그램 제공을 통한 생존권, 발달권 보장 관련 정책과 지역사회 인프라 연계의 체험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참여권 보장 관련 정책이 추진되고 있었다. 그리고 사회적 배려대상 아동을 위한 진로교육 정책도 제시되어 있어 비차별의 원칙 관련 정책들도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배려대상 아동의 진로교육 정책은 주로 장애아동에 관한 프로그램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진로교육에서 격차가 나타날 수 있고 진로장벽이 있을 수 있는 대상인 다문화가정 아동, 한부모가정 아동, 저소득층 아동, 학교 밖 청소년 등 다양한 사회적 배려대상 아동에 대한 진로교육 정책이 미흡했다. 셋째, 아동 의견 존중과 아동 최선의 이익 보장 관련 정책이 미흡하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우리나라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정책 및 프로그램에 있어서 아동권리의 질적인 면에 더욱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 진로교육 정책 수립과정에서 아동의 의사결정 참여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고 아동의 삶과 연계된 진로교육을 통해 유의미한 진로교육 성과가 나올 수 있는 진로교육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 차별 없이 진로교육을 받을 권리가 보장되는 수준을 넘어 사회적 배려대상자의 진로발달을 위한 더 체계적이고 더 지속적인 진로교육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며 다양한 진로교육에 대한 그들의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확대시켜야 한다. 둘째, 아동 의견을 반영하고 아동 최선의 이익을 보장하는 진로교육 정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체계적인 진로교육 정책 시스템 구축 및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체계적인 진로교육 질관리를 위해서는 우리 사회 전체 구성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전환이 선행되어야 한다. 진로교육의 다양성과 질제고를 위한 학교, 지역사회, 산업체, 학부모 등의 범사회적인 진로교육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reer education policies and programs of Korea's 17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rights and attempted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Accordingly, data on major career education policies and programs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mplemented after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areer Education Act in 2018 were collected through the websit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each office of education, and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policies were being promoted to guarantee the right to life and development by providing programs to strengthen career development capabilities, and policies to guarantee participation rights through career education linked to community infrastructure and experience-based career education. In addition, career education policies for children subject to social consideration were proposed, and policies related to the principle of non-discrimination were also being promoted. Second, the career education policy for children subject to social consideration was mainly composed of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 was an insufficient career education policy for children from various social considerations who may have career barriers and career gaps, such a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out-of-school youth. Third, policies related to respecting children's opinions and ensuring children's best interests were found to be lacking. Therefore,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more careful approach to the qualitative aspects of children's rights is needed in the career education policies and programs of Korea's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career education policies, opportunities for children to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must be provided, and career education policies must be improved so that meaningful career education outcomes can be achieved through career education linked to children's lives. Beyond guaranteeing the right to receive career education without discrimination, a more systematic and continuous career education system must be established for the career development of those subject to social consideration, and access to a variety of career education must be dramatically expanded. Second, we must recognize the need for a career education policy that reflects children's opinions and guarantee the best interests of children, and establish and operate a systematic career education policy system for this purpose. In order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quality of career education,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career education among all members of our society must take precedence. In order to improve the diversity and quality of career education, career education governance must be established throughout society, encompassing schools, communities, industries, and par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