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엔기후변화협약의 당사국 총회 결정문, 보고서 및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유엔기후변화협약의 기후변화 체제가 초기 어떠한 몰성성을 나타내었고, 이후 시민사회와의 젠더 거버넌스를 바탕으로 어떻게 성평등이 제도화되고 실천전략이 변화되어왔는지 역사적 맥락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초기 몰성성을 나타내었지만, 이후 젠더 거버넌스와 성주류화 실천으로써 젠더 프로그램 및 젠더액션플랜 등의 제정과 이행을 통해 성평등을 제도화해왔다. 그러나 유엔기후변화협약의 성평등 실천은 대개 여성의 대표성을 높이고 성별 균형을 고려하는 문제로 다루어지면서 기후변화로 인해 심화되고 있는 성차별 문제를 구조적으로 다루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철폐협약, 국제노동기구, 캐나다 정부 등의 사례에서 나타나는 교차성이 고려된 기후 성평등 제도화와 실천전략을 바탕으로 유엔기후변화협약 내 새로운 성평등의 제도화와 실천전략으로써 교차성의 의미와 가능성을 분석하고 있다. 교차성은 주요 사회적 범주들 간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불평등한 권력 구조를 밝히는 동시에 상호연결된 불평등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후 성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젠더분석 도구이자 실천전략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후변화 문제와 교차하는 성평등의 실현을 위해서 제도의 안과 밖을 넘나드는 새로운 협력과 동맹의 방향이자 방안으로써 단일한 여성 문제를 넘어서 인종, 계급, 연령, 지역 등 여성들 간의 차이를 다루는 동시에 성소수자, 남성 모두를 포괄하는 젠더 관점으로써 교차성을 유엔기후변화협약 내 새로운 성평등 제도화와 실천전략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교차성의 성평등 실천전략이 유엔기후변화협약의 국제적 수준을 넘어서 국내 수준에서 실질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어떻게 지역의 젠더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정치적 동원을 이룰 것인지에 대한 더 많은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UNFCCC’s decisions, reports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and existing literature that is related to gender equality to provide a historical context for how the global climate change regime was initially dominant, how gender equality has been institutionalized, and how action strategies of gender equality have been transformed in the UNFCCC through gender governance with civil society. Despite its initial intransigenc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UNFCCC has institutionalized gender equality through gender governance and gender mainstreaming practices, including the gender programs and gender action plans. However, the process of gender equality implementation in the UNFCCC is often framed as a matter of increasing women's representation and considering gender balance, which fails to address the structural gender discrimination tha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and possibilities of intersectionality as a new institutionalizatio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to achieve gender equality in the UNFCCC. This research analyzes the intersectionality cases of climate gender equality through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and the Canadian government. Intersectionality can be an effective gender analysis tool and action strategy for realizing climate gender equality, as it can reveal unequal power structures arising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major social categories and analyze how interconnected inequalities operate. Therefore, this study seeks intersectionality as a new gender equality action strategy that goes beyond women's issues to encompass women’s differences and gender diversity as a way forward for new cooperation and alliances within and beyond institutions to realize gender equality that intersects with climate change issues. However, more discussion and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build national gender governance and political mobilization for intersectionality to work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beyond the global level of the UNFCCC.
Ⅰ. 서론
Ⅱ. 교차성을 통해 본 기후 성평등 문제
Ⅲ. UNFCCC의 성평등 제도화 노력
Ⅳ. 기후 성평등 실현을 위한 교차성의 제도적 이행 가능성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