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발전으로 인하여 우리에게 선보인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모든 컴퓨팅 자원을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비스 제공 모델과 형태별로 구분되어진다. 서비스 제공 모델은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가 관리 및 운용하는 범위에 따라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로 나뉘어진다. 서비스형 SW인 SaaS 모델은 Software as a Service로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모델 중 하나이다. SaaS의 급격한 성장 배경에는 팬데믹과 경기 침체라는 악재 속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하기 시작되었다. SaaS는 구독경제의 한 형태로 사용자는 제품을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게 된다. 즉, SaaS의 특징 중 하나는 구독형 과금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구독자는 인터넷에 접속해 퍼블릭 클라우드에 올려져 있는 소프트웨어를 제공받으면 된다. 구독형SW는 사용자가 원격으로 인터넷을 통해 사업자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한다는 개념에 기반하고 있다. 본 연구는 SW 솔루션 개발업체의 기업이 IT서비스(구축형)에서 구독형SW(SaaS) 기업으로 사업모델을 전환하면서 발생되는 매출의 하락을 빠르게 극복하기 위해 미리 사업성 평가를 통하여 정액제 또는 종량제에 대한 구독 금액 선정과 투자 비용을 빠르게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기업 측면에서는 지금까지 정성적인 방법에 의존하던 사업기획 방안에서 좀 더 정확한 구독 서비스의 사업성 평가를 통하여 시장에 제품을 공급하며 합리적인 구독료 산정으로 신성장 분야의 선도업체로 나아갈 수 있는 마중물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With the advancement of the internet, cloud computing, which offers all computing resources as services through the internet, has been introduced to us. Cloud computing is categorized by service delivery models and types. The service delivery models are divided into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 (Platform as a Service), and SaaS (Software as a Service) based on the scope of management and operation by the service provider and the user. The SaaS (Software as a Service) model, a form of software as a service, is one of the rapidly growing new software models worldwide. The rapid growth of SaaS can be attributed to its development as a new business model amid the adversities of the pandemic and economic downturn. SaaS, as a form of subscription economy, requires users to pay only for the amount of the product they use. In other word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SaaS is its subscription-based pricing model. Subscribers can access the software hosted on the public cloud via the internet. Subscription-based software is a business model in which users remotely access software provided by a service provider over the internet. This model is based on the concept that users pay for the amount of software they use according to their needs.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to swiftly overcome the revenue decline experienced by software solution development companies transitioning their business model from IT services (on-premises) to subscription-based software (SaaS). Through prior business feasibility assessments, the study focuses on determining subscription pricing—whether fixed or usage-based—and exploring methods for rapid investment recovery. Furthermore, from a corporate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move away from the traditionally qualitative approach to business planning. By employing a more precise feasibility assessment of subscription services, it is anticipated that companies will be better positioned to timely supply products to the market and establish reasonable subscription fees.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lay the groundwork for becoming a leading company in new growth area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론 및 함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