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백련사는 고려후기 백련결사의 현장으로 대웅보전, 사적비, 동백나무숲 등 중요한 국가유산이 남아있는 유서깊은 사찰이다. 하지만 유형유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을 뿐 백련사를 구성하는 경관요소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고문헌 분석을 통해 강진 백련사를 구성하고 있는 경관요소에 대한 의미를 해석해보고자 하였다. 백련사와 관련된 문헌은 만덕사지(萬德寺誌)와 조선시대 지리지와 지도, 일제강점기 지형도와 지적원도, 현대 항공사진을 함께 분석하였다. 백련사는 행호대사가 중건할 당시 대웅보전(大雄寶殿) 중심의 동원과 팔상전(八相殿) 중심의 서원으로 조영되었으며 이는 법화경과 밀접한 건물배치이다. 현재 다원으로 조성된 곳이 서원의 위치이며 석축이 남아있다. 동백나무 숲의 기록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서부터 확인되며 19세기 중반부터 봉산으로 지정되어 사찰에서 소나무와 비자나무를 관리하여 왔다. 또한 다원을 계획적으로 조성하여 차를 생산하여 온 것이 확인되고 정약용, 아암혜장 등의 문집에서 차와 관련한 기록이 나타난다. 사찰 주변을 조경하기 위한 수종으로 동백나무(冬柏), 버드나무(柳), 오죽(梧竹), 대나무(竹), 철쭉(躑躅), 앵도나무(櫻), 치자(梔子), 작약(芍藥), 장미(薔), 목부용(木芙蓉), 탱자나무(枳樹), 석류나무(石榴)가 나타나고 있으며 그 외에 밭에는 상추(萵芽)와 겨자(芥), 약초를 심은 것으로 확인된다. 19세기 중반까지 약사전 뒤에 백련지(白蓮池)가 있었으며 이는 법화경(法華經)을 듣고 수행하면 극락세계에 태어난다는 내용을 약사전(藥師殿) 앞에 지당을 조성하여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Baengnyeonsa Temple in Gangjin is a historic temple with important national heritage assets, such as Daeungbojeon Hall, memorial stones, and camellia forest. However, only the tangible heritage of the temple was researched, and there is still a significant room for research on the landscape elements that make up Baengnyeonsa Temp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landscape elements that form Baengnyeonsa Temple in Gangjin through the analysis of ancient documents. Documents related to Baengnyeonsa Temple was analyzed along with the History of Mandeoksa Temple, the geography and map of the Joseon Dynasty, the topographic map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cadastral map, and modern aerial photographs. When Baengnyeonsa Temple was rebuilt, it was forme by building East site(東院), centered on Daeungbojeon(大雄寶殿), and West site(西院), centered on Palsangjeon(八相殿). Thich is a similar building layout to Lotus Sutra(Saddharma-Pundarika). West site is currently formed as Dawon(茶園), and stone shafts still remains there. Records of the camellia forest can be found in the map in the records of Sejong(世宗實錄地理志), and the temple has been designated as Bongsan(封山) in the mid-19th century and has been maintaining pine and Japanese torreya since. It can be found that the temple organized the formation of Dawon and produced tea. The texts by Jeongyakyong and Ahmhyejang, and others show records related to tea as well. Camellia japonica L.(冬柏), Salix pierotii Miq.(柳), Phyllostachys nigra(Lodd. ex Lindl.) Munro(梧竹), Phyllostachys reticulata (Rupr.) K.Koch(竹),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躑躅), Prunus tomentosa Thunb.(櫻), Gardenia jasminoides J.Ellis(梔子), Paeonia lactiflora Pall.(芍藥), Rosa banksiae Aiton(薔), Hibiscus mutabilis L.(木芙蓉), Poncirus trifoliata (L.) Raf.(枳樹), and Punica granatum L.(石榴) form the landscape around the temple. Moreover, it was found that Lactuca sativa L. (萵芽), Armoracia rusticana G.Gaertn., B.Mey. & Scherb.(芥), and herbs were planted in the garden. Until the mid-19th century, there was a baengnyeon pond(白蓮池) behind Yaksajeon(藥師殿). The formation of this site symbolizes the idea that if one adheres to and practices the Lotus Sutra(法華經), one will be born in the paradise.
Ⅰ. 서론
Ⅱ. 강진 백련사 관련 자료
Ⅲ. 백련사의 경관요소 해석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