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적 데이트폭력 피해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The Role of Sense of Self as A Protective Factor for Interpersonal Problems Experienced by Psychological Dating Violence Victims
-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 영유아교육실천연구
- 제2권 제1호
-
2024.06109 - 124 (16 pages)
-
DOI : 10.62423/jepece.2024.2.1.109
- 249

본 연구는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피해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 자아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성교제 경험이 1회 이상 있는 만19세~만 35세 미만의 성인 228명(남95명, 여13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심리적 데이트폭력피해 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 자아감척도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통해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조절효과의 검증에는 SPSS Macro PROCESS 모델 1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심리적 데이트폭력 피해와 대인관계문제 사이, 긍정적 자아감과 대인관계문제 간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왔다. 둘째, 심리적 데이트폭력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긍정적 자아감의 조절 효과가 유의하게 나왔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데이트폭력 피해자들의 상담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해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에서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 of dating violence(psychological) victim experience 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to verify whether the sense of self has a moderating effect as a protective factor. A total of 285 young adults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relationship between their experiences of dating violence(psycholgical)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examin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nse of self in this relationship was verified. As a result, psychological viol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problems. Interpersonal problem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nse of self. The moderation effect of sense of self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ting violence(psychological)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not significant. The necessity for intervention programs gearing toward positive sense of self inorder to fulfill one's purpose for reducing dating violenc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