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재난 중 화재는 발생 빈도에 비해 사망률이 높은 재난 유형 중 하나이다. 이는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에 의한 유독가스 질식이 가장 큰 원인이 된다. 더구나 화재는 발생 예측이 어렵고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인명 피해가 커질 수 있다. 특히 유아는 이러한 화재 상황과 같은 위험에의 인지 능력 및 대처 능력이 떨어지나 이에 대한 대비는 미비하여 피해의 위험성이 더욱 크다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유아들의 화재 대피를 돕는 긴급 대피 마스크 디자인의 키워드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여 제품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서의 활용을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연구는 첫째 문헌 조사를 통해 화재용 긴급 대피 마스크 사용 시 영향을 주는 유아의 인지, 신체, 운동 능력의 특징을 분석하여 사용자 요소를 정리하였다. 둘째 제품의 구조와 사용법, 안전 제품으로써 반드시 획득해야 하는 인증을 확인하고 기존 제품의 현황 및 장단점을 분석하여 제품의 요구사항을 정리하였다. 위 분석 내용에 기초하여 구성, 기능, 무해, 안정, 심미, 시인, 크기, 동작, 보관이라는 디자인 키워드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체크리스트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디자인 키워드를 도출하는 과정을 통해 기존 성인 위주의 안전제품에 유아를 적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고민의 계기를 마련하고, 체크리스트로 유아를 위한 ‘화재용 긴급 대피 마스크’ 제품 디자인에 보다 구체적인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제품 개발 시 활용을 기대할 수 있으나 이론에 기초한 결과이므로 차후 프로토타입 등을 통한 사용성과 안전성에 대한 부분들을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Among social disasters, fire is one type of disaster with a high mortality rate compared to the frequency of occurrence. The main reason is suffocation from toxic gases in smoke inhalation. Fire is characterized by difficulties in predicting the occurrence and it can happen to anyone, which can lead to an increase of casualties. Infants are particularly at a higher risk of damage due to their poor cognitive and coping capacity when at risk, such as in fire situations, and lack of preparedness. This research was studied for the purpose of deriving keywords in the design of emergency evacuation masks to help these infants evacuate fires, and based on this, suggesting design checklist as a basic research data for product design development. Firstly, in this study, characterized user elements by analyzing infant's cognitive, physical, and motor skills that affect the use of emergency evacuation masks for fire. Secondly, the requirements of fire evacuation mask are deriv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product certification criteria and analysis of the status of existing products. Based on the analysis, design keywords such as composition, function, harm-lessness, stability, aesthetics, visibility, size, operation and method of storage are derived. And design checklist is presented based on these. Through this process provides a chance for deeper thought about the ‘Infant user’ and a more specific approach was presented in the design of the ‘fire evacuation mask’ produc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expected to be used in product development, but since the results are based on theory, the parts for usability and safety should be supplemented through prototypes, etc.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화재용 긴급 대피 마스크 제품과 사례 분석
Ⅳ. 디자인 키워드 도출과 체크리스트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