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암서원은 2019년 세계유산목록으로 등재된 ‘한국의 서원(Seowon, Neo-confucian Academies of Korea)’에 포함된 한국을 대표하는 서원의 하나이다. 필암서원은 조선시대 서원 운영과 재정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가 남아있다는 점에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를 인정받았다. 특히, 보물로 지정된 ‘필암서원 문적 일괄’은 서원의 강학, 재정, 그리고 일반 운영을 통해 조선시대 서원에 대한 실상을 파악할 수 있다. 필암서원의 원임은 院長-院貳-掌議-色掌-有司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에서 원장은 중앙정계 및 산림을 대표하는 인물로 선임되었다. 원이와 縉紳掌議는 道伯과 長城郡守 등 지역의 관료들이 담당하였다. 이외의 儒林掌議를 포함한 하위의 원임들은 대체로 장성 인근에 거주하는 사족 중에서 선임되었다. 18세기부터 필암서원은 국가에 의해 규정된 사액서원 액내유생 30명을 유지하였다. 액내유생들은 30명으로, 장성 인근에 거주했던 幼學 직역을 가졌던 사족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액내유생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액외유생으로 다양한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원생들이 존재했다. 원임과 원생을 중심으로 서원에서는 제향과 강학을 위주로 한 활동들이 확인된다. 제향과 강학 이외에도 다양한 지역의 사족들과의 교류 내용들도 필암서원에서 주목된다. 17세기 중반부터 기록된 <봉심록>은 3,000여명의 명단이 수록되어 있어 필암서원을 중심으로 장성을 다녀간 사족들의 지역과 출신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필암서원 재정의 주축은 노비와 전답이었다. 노비는 사환・제수마련 등 필암서원의 주요 업무를 수행하였는데, 『노비보』를 비롯한 다양한 관리대장을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되었다. 필암서원의 노비들은 18세기 후반 이후 身貢의 형태로 전환되면서 30구 내외를 유지하였다. 전답의 경우 면세결에 해당되는 3결 내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였다. 노비와 전답으로 구성된 재정을 바탕으로 서원의 지출은 수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집행하였다. 이외에도 각종 부조를 통해 서원 재정이 확보되기도 하였다.
Piram-seowon is one of Korea’s representative academies included in ‘Seowon, Neo-confucian Academies of Korea’, which was inscribed in World Heritage List in 2019. Piram-seowon was recognized as Outstanding Universal Value in that it retains a variety of data that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operation and finances of the Seow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Wonim(board of directors) of Piram-seowon consisted of the Wonjang(director), Won-yi(deputy director), Jangeui(manager), Seakjang (manager), and Yusa(manger). Among these, the director was appointed as a representative of Neo-Confucian scholars or high-ranking official in the Joseong Society. Local officials were in charge of the Won-yi and Jangeui. Other members were generally elected by literati residing near Jangseong. Piram-seowon has 30 Wonseang(students) recognized by the government, plus additional students. In a seowon, activities centered on ritual rites and lectures are confirmed centered on the Wonim and Wonseang. The guestbook, which has been recorded since the mid-17th century, contains a list of about 3,000 people, allowing the region and origin of those who visited Piram-seowon to be confirmed in detail. The main pillars of Piram-seowon in terms of financial management were slaves and farmland. The slaves show the unique operating method of Piram-seowon,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record of the family relationships of the slaves centered on the maternal line. The number of slaves at Piram-seowon was around 30 since the late 18th century. In the case of fields, the level of tax exemption was consistently maintained at around 3.23ha. Based on finances comprised of slave and farmland, the expenditures of the Piram-seowon were carried out within the scope of income. In addition, the finances of the seowon were secured through various donations.
1. 머리말
2. 필암서원의 운영
3. 필암서원의 재정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