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량기반교육 전환에 따른 경찰리더십 교육의 방향과 과제
Direction and Challenges of Police Leadership Education in the Transition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Vol.20 No.4
- 2024.04
- 165 - 180 (16 pages)
공공의 안녕과 시민의 보호는 모든 경찰관이 달성해야 할 공동의 목표이다. 위기관리와 함께 리더십역량을 개발하는 것은 치안현장에서의 다양한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이러한가운데 미래사회에서 발생하게 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 거버넌스 패턴의 변화로 공공부문이 가져야 할 리더십에 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 경찰 교육훈련은 경찰 미래비전2050에 따라 역량 기반 교육과정으로 전환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경찰리더십 교육을 위한향후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독자적 리더십 모델을 기반으로 한 경찰리더십 교육체계를 수립하는것이다. 둘째, 경찰리더십 교육을 역량 중심 체례로 재편성하는 것이다. 셋째, 교육기관의 리더십 기능을통합하고 교육을 위한 품질 관리 및 점검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경찰리더십역량에 대한 연구를 평가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Public safety and citizen protection are common goals that police officers must achieve. Developing leadership capacity alongside crisis management skills is essential for effectively responding to various crises within the security field. Additionally, there is active discussion about the leadership that the public sector must possess due to changes in government governance patterns to solve complex problems in future society. Future police education and training will be converted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by the Police Future Vision 2050. Accordingly, the purpose is to suggest future tasks for police leadership education. Firstly, it advocates for establishing a police leadership education system based on an independent leadership model. Secondly,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police leadership education into a competency-based system. Thirdly, there is a need to integrate leadership function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stablish a management of quality and inspection system for education. Finally, this paper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and applying research on police leadership competencies.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경찰리더십 핵심역량 모델
Ⅳ. 경찰대학 경찰리더십 교육
Ⅴ. 경찰리더십 교육의 방향과 과제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