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4년 춘계학술대회 발표집.jpg
학술대회자료

모바일 앱 기반 사용자의 총체적인 성향파악을 기반으로 한 차량 추천 서비스에 관한 연구

Based on mobile apps, A Study on the Vehicle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the Overall Performance of Users

차량 구매는 사용자들이 어떤 차량에 선호도를 가지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선호도에 부합한 차량을 세부적인 구매 성향이라는 거름망을 거쳐 구매하는 과정으로 이어진다. 이 과정을 많은 사용자는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서 진행하는데 반해, 온라인상에서는 전문적인 용어, 문어체, 질문 수의 한계, 피상적인 질문으로 인해 커뮤니케이션의 한계가 있다는 특성이 있어 사용자 자신의 성향을 반영한 차량을 고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오프라인 상에서 딜러가 사용자에게 차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질문이 아닌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 소비스타일, 가치관, 철학 등 총체적인 구매 컨텍스트를 Casual Question을 통해 파악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차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은 사용자의 총체적인 구매 성향을 파악하여 최적의 차량을 추천받을 수 있는 소통형 모바일 서비스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차량에 대한 필수 조건을 설정하고, 차량이 아닌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총체적인 사용자의 성향과 스타일을 파악할 수 있는 Casual Question을 통해 차량 매칭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키며, 제안되는 차량 후보군의 적합성 판단을 위한 근거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차량을 구매하는 각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chase of a vehicle starts with the preference of a vehicle by users, and then leads to the process of purchasing a vehicle that meets the preference through a detailed filter of purchasing tendencies. While many users proceed with this process through online services, it is difficult to select a vehicle that reflects the user's own disposition because it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communication due to professional terms, written language, limitations of the number of questions, and superficial questions online. Therefore, this study studied the process in which dealers grasp the overall purchase context, such as the user's lifestyle, consumption style, values, and philosophy, rather than questions directly related to the car to the user offline. Through this, we propose a communicative mobile service that can receive recommendations for the optimal vehicle by grasping the overall purchasing propensity of users who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car. To this end, we proposed a service that improves the accuracy of vehicle matching through Casual Question, which allows users to set essential conditions for vehicles, grasp the overall user's propensity and style for products and services rather than vehicles, and provides users with evidence information to easily understand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vehicle candidate group.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guideline for services that should be provided to users in each process of purchasing a vehicle in the future.

1. 서론

2. 본론

3.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