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통상정보연구 제26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탄소중립·녹색성장을 위한 지속가능 글로벌 SCM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stainable Global SCM Strategies for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DOI : 10.15798/kaici.2024.26.2.71
  • 82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 문제는 각종 기상이변과 천재지변을 야기하여 전 세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전 세계의 많은 국가들은 GHG 배출량을 삭감하여 환경을 회복하기 위해 다양한 법적, 제도적 정비와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글로벌 공급망에 여러 문제가 발생해 지금까지 기업이 운용했던 SCM의 취약성이 드러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탄소중립·녹색성장 방향성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의 기업 관점에서 글로벌 및 한국 정부의 정책적 방향을 탐색하여 미국, EU 등의 정책방향을 연구하였고, 지속가능 글로벌 SCM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연구를 통해 글로벌 공급망의 재구축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향후 기업은 다양하게 추진될 각국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에 유연성을 가지고 대응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기존 SCM의 개선 및 재구축을 통해 경쟁력 제고를 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ssue of global warming, stemming from climate change, exerts significant ramifications worldwide and manifests in diverse extreme weather conditions and natural calamities. In response, a growing number of countries globally have been advocating for a spectrum of legal frameworks, institutional mechanisms, and supportive policies to mitigate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and facilitate environmental rehabilitation. Notably, the COVID-19 pandemic has exposed vulnerabilities in the global supply chain, underscoring deficiencies inherent in existing supply chain management (SCM) paradigms employed by companies. This study explored both global and Korean government policy trajectories from the perspectives of domestic companies. For this, the study investigated the policy directions of pivotal actor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thereby contributing to the discourse on the reconstruction of global supply chains through a synthesis of theoretical ground and empirical case studies centered on sustainable global SCM practices. Companies are required to adeptly navigate the comprehensive landscape of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ies instituted by individual nations. In turn, companies can enhance their competitive edge by fortifying and overhauling prevailing SCM infrastructures.

Ⅰ. 서론

Ⅱ.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Ⅲ. 세계의 녹색성장

Ⅳ. 지속가능 글로벌 SCM과 탄소중립·녹색성장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