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는 새로운 비관세 장벽으로 등장하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비교할 때 ESG 대응은 그 격차가 큰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수출중소기업들이 인식하고 있는 E,S,G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각각의 실천항목들을 대상으로 그 중요성과 시급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문가 인터뷰, SMART 기법을 활용한 ESG 세부항목을 도출하였고, 이들의 우선순위를 AHP 및 IPA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Level 1의 전략 우선순위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 순으로 나타났다. Level 2의 ESG 내 주요항목별 전략 우선순위는 투명경영 노력, 친환경공급망 구축 노력 등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대기업 중심으로 가동되고 있는 현 ESG 전략을 수출중소기업에 내재화하기 위한 전략적 필요성, 친환경공급망 구축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에 대한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이의 연구결과는 IPA 결과와 일치하는 점이다. 본 연구는 한국 수출중소기업의 ESG 의 전략적 우선순위 및 실천항목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한국 수출중소기업에만 한정했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며, 향후 대기업과 중견기업 등으로 그 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ESG is emerging as a new non-tariff barrier. When comparing large enterprise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t is true that there is a significant gap in ESG respo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rategic priorities and practical items for ESG management of SMEs. In particular,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iorities of E, S, and G as perceived by export SMEs in South Korea and to evaluate the importance and differentiation of each practical item. To this end, expert interviews and the SMART technique were used to derive detailed ESG items, and their priorities were evaluated using AHP and IPA method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strategic priorities at Level 1 were in the order of Environment, Social, and Governance. The strategic priorities for major items within ESG at Level 2 were derived as efforts for transparent management and efforts to establish an eco-friendly supply chain. Finally, the strategic necessity of internalizing the current ESG strategies, which are centered on large companies, into export SMEs and the need for government policy support to establish an eco-friendly supply chain were identified. These study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IPA resul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rived the strategic priorities and practical items of ESG for Korean export SMEs.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confined to Korean export SMEs,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scope be expanded to include large enterprises and mid-sized companies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데이터 수집 및 분석절차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