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조손가정 조모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그목적을 둔다. 이야기치료 이론을 바탕으로 10회기의 집단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가정위탁지원센터에 등록된 조손가정 조모 1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질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프로그램 녹취록, 프로그램 노트, 심층면접 자료를 활용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데이터마이닝과 주제분석을 이용하여 질적연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같다. 이야기치료 집단프로그램을 통해 조손가정 조모들의 문제이야기는 풍부한 이야기로 전환되었고, 조모둘의 내면의 힘인 ‘관계 속에서 나를 인식하기’, ‘삶의 주도성’, ‘위기 속에서빛나는 나’가 발견되었다. 또한 이야기치료 집단프로그램을 통해 ‘후회 없는 삶’, ‘양육공동체만들기’, ‘살고 싶은 이야기를 시작하기’ 라는 대안이야기가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narrative therapy program on custodial grandmothers. Based on the narrative therapy theory, a group program of 10 sessions was formed and conducted for the 10 custodial grandmothers registered at the home care support center.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rogram transcripts, program notes, and in-depth interview data.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rom data mining and subject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With the narrative therapy group program, problem stories of custodial grandmothers were converted into rich ones. Inner powers of the custodial grandmothers such as ‘recognizing myself in a relationship’, ‘the initiative in life’, and ‘I used to shine in a crisis’ were revealed. In addition, alternative stories such as ‘life without regret’, ‘creating a parenting community’, and ‘starting a story I want to live’ were reveal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