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의미작용을 바탕으로 보드리야르의 배려 지상주의와 그 배경이 되는 개념들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는 롤랑 바르트와 장 보드리야르의 논의를 바탕으로 앙리 르페브르의 이론들을 도입하여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다. 세 학자의 이론을 의미작용 차원에서 종합하면 ‘일상’은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조종되는 대상으로 규정된다. 이 일상에서 소비는 주체가 결핍을 해소하는 수단으로 드러난다. 그리고 그러한 소비를 조장하는 광고는 주체가 자신의 욕망을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게 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본 논문의 주제인 ‘배려’는 이 지점에서 윤곽을 드러낸다. 국가는 국민에서 복지를, 상품은 소비자에게 정체성이라는 배려를 제공한다. 이러한 배려는 인간관계의 부재 속에서, 감정적 결핍을 집요하게 파고든다. 상품 자체의 가치보다, 상품을 구매하고 얻을 수 있는 감정들이 주체의 욕구를 충족한다. 주체는 정책과 상품의 소비자로서, 정부와 기업이 만든 광고가 만든 이 배려라는 신화에 공모할 뿐이다.
Cet article a pour but d’à étudier « Mystique de la sollicitude » de Jean Baudrillard et les concepts sous-jacents qui la sous-tendent, en se basant sur la signification. Nous avons cherché à atteindre cet objectif en combinant les discussions de Roland Barthes et Jean Baudrillard avec les théories d’Henri Lefebvre. Synthétisant les théories de ces trois chercheurs du point de vue de la signification, le “quotidien” est défini comme un objet manipulé par l’idéologie capitaliste. Dans ce quotidien, la consommation se manifeste comme un moyen de combler les lacunes. Les publicités, qui encouragent cette consommation, deviennent ainsi des agents essentiels en faisant croire au sujet qu’il peut résoudre ses désirs. Le thème central de ce document, la “sollicitude”, se dessine à partir de ce point. L’État offre le bien-être aux citoyens, tandis que les produits offrent aux consommateurs une identité. Cette sollicitude persiste obstinément dans l’absence de relations humaines, comblant les manques émotionnels. Plutôt que la valeur intrinsèque des produits, ce sont les émotions que l’on peut ressentir en les achetant qui satisfont les désirs du sujet. En tant que consommateurs de politiques et de produits, les individus participent simplement au mythe de cette sollicitude créé par les gouvernements et les entreprises.
1. 서 론
2. 실재 일상과 사고 속에서의 일상
3. 배려 지상주의
4.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