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프랑스문화연구 제61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Affichage bilingue et politique linguistique en Bretagne: une approche sociolinguistique

Affichage bilingue et politique linguistique en Bretagne: une approche sociolinguistique

DOI : 10.18022/acfco.2024.61.1.007
  • 49

브르타뉴어는 프랑스의 브르타뉴 지방에서 사용되는 켈트계 언어로, 2004년 이후 프랑스에서 지역언어로 인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정에도 불구하고, 유네스코는 브르타뉴어를 “심각한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하였으며, 브르타뉴 지역인구의 약 5.5%만이 브르타뉴어를 구사하며, 일상에서는 브르타뉴어가 공적 및 사적영역에서 사라졌다. 브르타뉴 지방을 여행해도 브르타뉴어를 전혀 듣지 못할 수도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제 브르타뉴어는 공적장소에서, 마을의 입구와 출구, 교통표시판 등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 1970년대에 시작된 프랑스어-브르타뉴어 이중언어 표지판은 브르타뉴 지방의 공적공간에서 최근 10여년의 기간에 걸쳐 점점 더 보편화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브르타뉴 지역의 공적공간에서 프랑스어-브르타뉴어 이중언어 표지판의 구현을 심층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언어학적 맥락, 동기 및 언어, 정치, 문화 및 사회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브르타뉴어의 사용이 줄어들고 일상생활에서의 편차화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이중언어 표지판은 브르타뉴어를 공적공간에서 부활시키려는 중요한 시도이며, 이는 브르타뉴 문화의 정체성을 인정하고 강조하는데 그치지 않고, 브르타뉴어를 촉진하고 보존하려는 지역 주체의 노력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중언어 표지판이 브르타뉴어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그 가시성에 기여할 수는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브르타뉴어의 일상적인 사용의 감소를 막을 수 있는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 언어 부활에는 단순한 표지판 이상의 깊고 다양한 조치가 필요하다. 이에는 교육 및 문화 정책 등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에서의 대책이 요구된다.

Cet article examine le rôle essentiel des panneaux bilingues dans l’espace public en Bretagne, en tant qu’éléments de préservation et de promotion de l’identité linguistique et culturelle régionale. En dépit du déclin de l’usage du breton, ces panneaux offrent une visibilité remarquable à la diversité linguistique de la région, tout en contribuant à une redécouverte de la langue régionale. Toutefois, pour assurer une revitalisation linguistique durable, il est impératif de poursuivre et d’élargir les efforts dans différents domaines tels que des politiques éducatives et culturelles ciblées.

1. Introduction

2. Contexte sociolinguistique

3. Une politique linguistique pour la Bretagne

4. L’implémentation d’une signalétique bilingue français-breton

5. Conclusion

Bibliographi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