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 진행과 그 억제 방법이 맥락막 두께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Myopia Progression and Its Intervention Methods on Choroidal Thickness
- 대한검안학회
-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 Vol.23 No.2
-
2024.0651 - 57 (7 pages)
-
DOI : 10.52725/aocl.2024.23.2.51
- 10

최근 근시 유병 인구의 증가로 근시 진행을 억제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맥락막은 포도막 층에서 가장 뒤쪽, 가장 큰 부분으로 망막과 공막 사이에 위치하는 혈관이 풍부한 조직으로 최근 검사 장비의 발전으로 직접적인 조영이 가능해지면서 정상 및 병적 상황에서 맥락막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근시와 관련해서는 근시 도수가 높아지고 안축장이 길어질수록 맥락막의 두께가 얇아지고, 근시 진행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고농도 또는 중간농도 아트로핀이나 각막교정렌즈의 경우 치료 초기부터 맥락막 두께의 증가를 동반하는 것이 보고되고 있으며, 동물실험을 통하여 맥락막 두께의 증가가 근시 진행을 억제하는 기전에 대한 규명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맥락막은 새로운 근시 진행 억제 방법 개발을 위한 치료 타겟으로도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맥락막 두께의 증가가 이후 근시 진행의 예측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어, 향후 근시 진행 가능성을 판단하는 생물표지자로서의 역할도 기대를 받고 있다.
As the prevalence of myopia has recently increased,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interventions to slow myopia progression. The choroid, the rearmost and largest part of the uveal layer, is a tissue rich in blood vessels located between the retina and the sclera. Recent advancements in diagnostic equipment have enabled direct imaging of the choroid, leading to increased research on its role in both normal and pathological conditions. Regarding myopia, it has been reported that; 1) the choroidal thickness decreases as the degree of myopia and axial length increase, 2) in the case of moderate to high concentrations of atropine or orthokeratology lenses, which are known to slow myopic progression, choroidal thickening is accompanied from the early stages of application, and 3) the mechanism by which choroidal thickening slows myopia progression is also being actively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choroid is being recognized as a therapeutic target for developing new interventions to slow myopia progression. Additionally, the increase in choroidal thickness has been reported as a predictive factor for the subsequent myopia progression, suggesting its potential role as a biomarker for assessing the likelihood of future myopia progression.
서 론
안과 검사 장비의 발달이 근시 진행 관련 임상 연구에 미친 영향
맥락막과 맥락막 두께 측정 방법
근시 진행 억제 방법에 따른 맥락막 두께의 변화
맥락막 두께가 근시 진행에 미치는 영향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