曺潤孫(1469∼1548)은 조선 전기 晉州를 대표하는 인물의 한 사람이다. 武科에 급제해 조정에 출사했고 국왕의 총애를 받아 요직을 도맡았다. 조윤손은 1520년(중종 15)을 전후해 진주 松谷에 冥鴻亭을 경영했고 이는 진주의 상징적인 별서로 회자되었다. 金克成은 八詠詩를 통해 정자의 아름다움을 예찬했고, 鄭士龍이 杜甫의 시에 차운해 명홍정을 노래하자 蘇世讓·沈彦光·金正國 등 당대 명사들이 거듭 차운하며 정자를 장식했다. 조윤손의 명홍정이 명성을 얻은 데에는 다양한 이유가 존재한다. 첫째, 조윤손이 이룬 개인적인 성취이다. 조윤손은 중앙의 요직에서 활동하며 진주의 대표적인 인물로 이름을 떨쳤다. 둘째, 문학작품을 통해 알려진 정자의 가치이다. 어득강은 「冥鴻亭上梁文」을 지어주었고 이는 후대에 최고의 상량문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명홍정이 지닌 고유의 아름다움이다. 제도적 우월성과 경관의 아름다움은 별서를 알리는 데 일조한 것으로 짐작된다. 조윤손 사후 명홍정은 사라졌지만 柳世彰(1657∼1715)에 의해 그 문화사는 계승되었다. 류세창은 꿈을 통해 명홍정을 점지하고 文化柳氏의 공간을 개창했다. 이후 이들은 冥鴻亭 柳氏라는 이름으로 주인을 자처했고, 柳震必은 자신의 호를 鴻洲라 자호해 새로운 역사를 개창했으며, 근대 전환기에는 不祧廟가 건립되며 위상을 공고히 했다. 현전하는 류세창 묘소와 명홍정 관련 기록은 조선시대 명홍정의 위치를 기억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Jo Yun-Son(曺潤孫)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s of Jinju(晉州)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He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 entered the royal court, was favored by the king, and took on important posts. Around 1520, Jo Yun-son built Myeonghongjeong in Jinju Songgok(松谷), and it was talked about as a symbolic pavilion of Jinju. Kim Geuk-Seong(金克成) praised the beauty of the pavilion through Palyeongsi(八詠詩), and when Jeong Sa-Ryong(鄭士龍) wrote a poem about Myeonghongjeong, celebrities of the time, such as So Se-yang(蘇世讓), Sim Eon-Gwang(沈彦光), and Kim Jeong-Guk(金正國) also wrote. There are various reasons why Jo Yun-son's Myeonghongjeong gained fame. First, it is a personal achievement by Jo Yun-son. Jo Yun-son was active in the central position and was distinguished as a representative figure of Jinju. Second, the value of the pavilion is known through literary works. Eo Deuk-Gang(魚得江) built 「Myeonghongjeongsangryangmun(冥鴻亭上梁文)」 considered the best sangryangmun(上梁文) in later generations. Third, it is the unique beauty of Myeonghongjeong. It is presumed that institutional superiority and the beauty of the landscape contributed to promoting the pavilion. After Jo Yun-Son's death, Myeonghongjeong disappeared, but Ryu Se-Chang(柳世彰) inherited its cultural history. Through dreams, Ryu Se-Chang occupied Myeonghongjeong and opened the space for Munhwa Ryu Clans(文化柳氏). Later, they claimed to be the owners of Myeonghongjeong Ryu Clans(冥鴻亭柳氏). Ryu Jin-Pil(柳震必) called his pen name Hongju(鴻洲) and succeeded to a new history.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Ryu Clans built a shrine to solidify its status. The current records related to the MyeongHongjeong and Ryu Se-Chang tombs provide essential clues to remembering the location of Myeong Hong-je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1. 머리말
2. 조윤손이 경영한 명홍정
3. 명홍정의 위상과 아름다움
4. 조선 후기 문화류씨의 명홍정
5. 명홍정 일원의 위치 비정
6.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