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가족자원 및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amily Resources and Parent’s Caring Attitudes on an Adolescent’s School Record

  • 5

본 연구는 가족자원과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았다. 가족자원으로 가족의 소득, 모학력을 하위변인으로 하였으며 부모양육태도로는 부모애착, 부모감독을 하위변인으로 하였다. 청소년패널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가족자원은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부모양육태도는 1차년도와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청소년성적은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가족자원(가족소득, 모의학력) 및 부모양육태도는 청소년 성적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매개모형에서 빈곤가족의 부모양육태도는 가족자원과 청소년성적 간 부분적으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family resources and parent’s caring attitudes and determines whether they influence an adolescent’s longitudinal school record. The family resources scale has subordinate scales like family income and mother’s education, and the parent’s care attitude scale has subordinate scales like parent attachment and parent supervision.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Korea Youth Panel. The family resources and parent’s caring attitude scale comes from the 2003 Korea Youth Panel and adolescent’s school records come from the 2006 Korea Youth Panel. The major findings are: Family resources and parent caring attitude significantly influence an adolescent’s longitudinal school record. Family resource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arent’s caring attitude. In a poor family, parent’s caring attitude partially mediated that family resources affected an adolescent’s recor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