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이혼가족자녀의 학교적응에 가족보호요인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of Divorced Parents

  • 13

본 연구는 이혼가족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가족보호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이들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가족복지 실천 개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이혼가정 초등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적응의 하위요인별로 구분하여, 먼저, 학교생활에 대한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보호요인은 가족 응집력, 양육태도, 가족 의사소통 순이며, 학업성취에 대한 태도에는 정서적 지지, 의사소통 순으로, 학교규범준수에는 정서적 지지, 가족 의사소통, 양육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적응 전체에는 가족 응집력이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고, 다음은 정서적 지지, 가족 의사소통, 양육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의 응집력이 높고, 정서적 지지가 강하고, 의사소통이 개방적이며, 부모의 자녀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이혼가족자녀의 학교적응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함의를 기초로 이혼가족자녀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임상적 접근에서는 상기에서 도출된 가족보호요인의 영향력 순으로 개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되며, 나아가 가족보호요인을 다양화하는 것이 이혼가족자녀의 학교적응을 돕는 예방 전략 모색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of divorced parents and develops an intervention strategy of social work practice for these children. This study surveyed 244 children of divorced parents in Pohang. The results show that family protective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of divorced parents were family cohesion, emotional support among family support, parents-child communication with family, and parenting style, in that order. To ease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children, it is an effective approach to use the order of influential ability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found in this stud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고찰 및 함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