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ther's Persona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on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한국가족복지학
- Vol.17 No.1
- 2012.03
- 125 - 152 (28 pages)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사회적 유능감에 어떠한 경로를 통해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아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사회적 유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 유아교육 현장이나 부모교육 및 가족복지 프로그램, 상담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5-7세 유아의 어머니 335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변인은 신경증, 외향성, 성실성, 개방성, 결혼만족도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유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변인은 개방성, 성실성이었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력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방해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변인은 친화성, 결혼만족도이었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력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불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변인은 신경증, 성실성이었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력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의 지도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변인은 성실성, 친화성이었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여섯째, 유아의 친사회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개방성이었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력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사회적 유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에서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결혼만족도라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other's persona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on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5 mothers whose children, between 5-7 years of age, were enrolled in 4 one of kindergartens in Cheongju city. Data were analyzed not only by frequency, through Pearson's correlation using the SPSS 12.0 program but also by path analysis using the AMOS 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agreeable personality directly affecte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but that mother's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had both a direct and indirect infuence. The mother's neurotic personality negatively influenced th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s well as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Second, the strongest variables affecting young children's capability were mother's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personality. Third,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for young children's disruptiveness were the mother's agreeable personality as well as marital satisfaction. Fourth, The mother's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dominantly affected young children's apprehension of including mother's ones. Fifth, young children's leadership was affected by the mother's conscientiousness and agreeableness the most. Sixth,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directly affected their own social competence except for leadership.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